(3) 한화디펜스의 ‘K21 보병전투장갑차’ 끝없이 진화하는 무기 시스템

대한민국은 40여년 만에 전차, 장갑차, 자주포, 미사일은 물론 함정, 잠수함, 고등훈련기까지 거의 모든 무기체계를 생산하는 신흥 방산강국이 됐다. 뉴스투데이는 한국의 방산제품 중에서 세계로 수출되거나 수출 가능성이 높은 명품을 선정하여 소개하는 ‘수출 방산 명품’ 시리즈를 시작한다. <편집자 주>
K21 업그레이드한 ‘AS21 레드백 장갑차’ 개발해 치열한 수주전 나서
라인메탈 디펜스의 링스, BAE시스템즈의 CV90, GD의 에이젝스와 경합
[뉴스투데이=김한경 국방전문기자] 한화디펜스의 K21 보병전투장갑차(IFV)가 방산수출 시장과 미래 디지털 전장 환경에서 끝없이 진화하는 명품무기로 주목되고 있다.
한화디펜스는 호주 육군의 ‘미래형 보병전투장갑차 도입사업’을 수주하기 위해 호주 지형에 특화된 ‘AS21 레드백 장갑차’를 개발하고, 현지에서 치열한 수주전을 벌이고 있다. 지난달 23일에는 호주 정부와 현지 협력사 간의 신뢰를 높이고 지지기반을 확대하기 위해 빅토리아주 정부시설에서 첫 사업설명회도 진행했다.
호주군 창군 이래 최대 규모의 무기획득 사업으로 전투차량 외 계열차량 8종이 포함돼 총 400대를 구매할 계획이며, 예산 규모만 약 5조원(46억 달러)에 달한다. 호주 육군은 오는 9월까지 2개 업체를 선정하고, 1년 동안 시험평가를 거쳐 2021년 10∼12월 최종사업자를 선정할 예정이다.
현재 한화디펜스의 AS21은 독일 라인메탈 디펜스의 링스(Lynx), 영국 BAE시스템즈의 CV90, 미국 제너럴다이나믹스의 에이젝스(Ajax)와 치열한 경합을 벌이고 있다. 경쟁 상대들이 미 육군에 수출을 타진 중인 링스나, 고출력 신형엔진 등을 장착한 CV90, 자동탐색·추적·탐지기능 등이 강화된 에이젝스 등이어서 결과는 낙관하기 어렵다.
한화디펜스 관계자는 지난달 26일 “레드백은 호주에서 서식하는 세계에서 가장 강한 독을 가진 거미인 ‘redback spider’에서 따온 이름”이라면서 “레드백은 사막이 많은 호주 지형에서 완벽히 임무를 수행할 수 있게 설계됐고, 한국군에서 검증된 K21 보병전투장갑차를 기반으로 방호력, 화력성능 등을 높인 미래형 궤도 장갑차”라고 말했다.
그는 또 “30㎜ 기관포, 대전차미사일에 각종 탐지·추적 센서, 방어시스템 등 다양한 첨단전투시스템을 갖췄으며, 특히 호주 광학기술기업인 ‘일렉트로 옵틱 시스템스(EOS)’의 최첨단 센서와 기술이 집약된 T-2000 포탑이 장착된다”고 강조했다. 즉 AS21은 호주 지형과 미래 전장 환경에 맞게 K21을 업그레이드한 장갑차란 얘기다.
◆ K21, 디지털화된 4세대 전투장갑차로 방어력, 화력, 기동력 뛰어나
한화디펜스는 AS21의 기반인 K21도 “미래 디지털 전장 환경에서 입체 고속 기동전 수행을 위해 화력, 생존성, 기동성을 대폭 증강시킨 미래형 보병전투 장갑차(IFV)”라고 설명하면서 “40mm 주포 탑재로 더욱 안전한 병력 수송과 전투 임무를 수행하며, 동급 전투 장갑차 중 유일하게 자체 수상 운행이 가능하다”고 홈페이지에서 밝히고 있다.
내부가 디지털화된 4세대 IFV인 K21은 방어력, 화력, 기동력이 뛰어나다. 러시아제 152mm 자주포탄 파편은 물론 1km에서 50mm를 관통하는 날개분리철갑탄까지 막을 수 있는데다, 40mm 중기관포를 선택했고 사정거리 2500m급의 대전차미사일이 2발 장착돼 있다. 기존의 알루미늄 장갑재보다 30% 경량화 됐음에도 740마력의 엔진을 장착했고, 수중에서도 시속 7km의 속도를 낼 수 있다.
K21은 1999년부터 2007년 개발 완료 때까지 총 910억 원의 개발비가 들었다. 2009년 11월부터 2013년 4월까지 두 차례 양산을 통해 240여 대를 생산했으며, 이후 2016년까지 3차 양산을 통해 160여 대를 생산했다. 20기계화사단을 필두로 수도기계화사단과 이어 11기계화사단에 배치됐으며, 가격은 대당 40억 원이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미국이 브래들리 장갑차의 업그레이드 계획을 취소하고 신형 IFV 도입을 검토 중이며, 인도도 BMP-1, 2 장갑차 교체사업을 개발에서 구매로 변경하는 등 주요 국가의 IFV 교체 시기가 도래하면서 K21 같은 우수한 성능의 궤도형 장갑차 시장이 급성장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 K-21 차체에 CMI 디펜스사의 포탑 탑재한 ‘경전차’ 수출용으로 제작
또한, 한화디펜스는 2016년 벨기에 CMI 디펜스사와 750만유로(약99억 원) 규모의 포탑 구조물 공급계약을 체결하고, K-21 장갑차 차체에 CMI 디펜스사의 105㎜ 포탑을 탑재한 ‘K21 XC8 105mm 경(輕)전차’를 제작해 해외 전시회에 참여하며 선보였다. 한 때 포사격성능시험에서 포신 폭발사고가 발생하는 어려움도 겪었지만 록히드마틴과 함께 미국 경전차 도입 경쟁에 참여한다는 소식도 나오는 등 수출 준비는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신현우 한화디펜스 대표는 2016년 당시 “세계 방산시장에서 중형 전차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면서 전술적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경전차에 대한 수요가 중동, 남미, 동남아 등지에서 많다”며 “기존 K21 장갑차에 해외에서 기술력을 이미 인정받은 CMI 디펜스사 포탑을 탑재한 신형 경전차를 만들어 수출할 계획”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 K21, 또 다른 업그레이드 모델인 육군의 차세대 전투차량(NGCV) 구상
한편, 육군은 2030년대 배치를 목표로 차세대 전투차량(NGCV) 사업을 시작하려고 구상 중이다. 육군이 NGCV를 생각한 배경엔 병력과 부대의 수가 줄어드는 반면 1개 부대가 지켜야 할 지역은 더 넓어지는 미래 전투 환경이 자리 잡고 있다. 육군의 NGCV에 영감을 불어 넣어 준 전투차량이 바로 한화디펜스가 호주에 수출하려는 AS21 레드백 장갑차이다.
군 소식통은 “공통 플랫폼을 기반으로 경(輕)전차, 보병전투장갑차(IFV) 등 다양한 목적의 전투차량을 파생형으로 만들 예정”이라며 “인공지능과 로봇 기술이 상당 수준에 이른다면 경전차를 완전 무인차량으로 만드는 방법도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화디펜스에게 K21을 기반으로 또 다른 업그레이드 모델의 전투차량이 요구되는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