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등 공공 금융 겨냥한 사이버공격 최근 3년간 14∼20배 급증

심기준 의원 "사이버공격 갈수록 증가…정보유출 공격에 철저 대비해야"
[뉴스투데이=이원갑 기자] 한국은행이나 한국투자공사(KIC) 등에 대한 사이버공격 시도가 최근 3년간 14∼20배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심기준 의원이 행정안전부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정부 부처·광역자치단체에 대한 해킹 시도' 자료에 따르면, 한국은행에 대한 사이버공격 횟수는 2015년 38건에서 지난해 767건으로 3년 새 20배 이상 증가했다.
올해 1∼8월까지 탐지된 사이버공격 시도는 벌써 931건에 달해 지난해 전체 탐지 건수를 앞질러 한국은행이 해커의 주목을 받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가별로는 브라질이 331건으로 사이버공격의 절반에 가까웠고, 중국(158건), 러시아(66건)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다만 사이버공격은 출발지 정보제공자(IP)를 위조해 공격하는 경우가 있어 해당 국가의 공격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KIC를 노린 사이버공격도 2015년 10건에서 지난해 143건으로 14배 이상 늘었다. 올해 1∼8월까지 탐지된 사이버공격 시도는 238건으로, 이 추세라면 올해 공격 시도 건수가 350건을 넘길 가능성이 크다.
이 같은 공공 금융기관에 대한 사이버공격은 정부 부처나 광역자치단체에 대한 공격 추이에 비교하면 눈에 띄게 급증하고 있다.
정부 부처에 대한 사이버공격 시도는 2015년 52,795건에서 지난해 94,980건으로 1.8배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광역자치단체의 경우 2015년 8,797건에서 지난해 18,566건으로 2.1배 늘었다.
유형별로는 정보 유출을 노린 공격이 31,678건(2018년 기준)으로 가장 많았고, 정보수집(19,015건), 홈페이지 변조(15,924건) 시도도 그 뒤를 이었다.
심 의원은 "전반적으로 사이버공격이 갈수록 증가하는 추세이고 IP 경로도 특정하기 어려워지고 있다"며 "정보 유출·수집을 목적으로 한 공격에 철저히 대비해 운영 리스크를 최소화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