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시, 투자유치로 납 폐기물 공장 몰래 허가했다”

[뉴스투데이=황재윤 기자] 경북 영주시가 낙동강 최상류 서천변에 1급 발암 물질인 납 등을 재활용하는 산업폐기물처리공장을 허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28일 <뉴스투데이 대구경북본부>가 영주납폐기물제련공장반대대책위원회를 통해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A업체는 지난해 7월 영주시에 부지 1만 4703㎡에 고철·비철금속, 폐금속류, 2차 폐축전지를 처리하는 내용의 폐기물처리업 사업계획서를 제출했다.
이후 영주시는 지난해 10월 A업체의 폐기물처리업 사업계획에서 대해 적정을 통보, 하지만 시는 인근 주민들을 대상으로 A업체가 운영할 산업폐기물처리공장에 대해 주민설명회를 진행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A 업체의 공장 기존 창고 건물을 중축하는 공장 2071㎡와 사무실 211㎡, 기숙사 211㎡ 신축 허가를 받아 공사를 진행 중이다.
이를 두고 영주납폐기물제련공장반대대책위원회 측은 “영주시가 투자유치 명목으로 전국 어디에도 받아주지 않는 산업폐기물처리공장을 몰래 허가해줬다”며 “현재 해당 공장의 건설 공정율은 30%에 이른다”고 말했다.
이어 “납이 함유된 폐기물을 용융해 연괴(납덩어리)를 만드는 공장은 유독한 매연 배출 시설로 구성되어 있다”며 “용융과정에서 기화돼 배출되는 납 물질 등은 시민의 건강과 생명에 심각한 위해요소가 된다”고 지적했다.
특히 “낙동강 상류 수질오염이 예상되고, 영주사과·풍기인삼을 포함해 지역 농산물이 ‘납 농산물'로 전락하게 되는 것은 불가피한 일”이라고 꼬집었다.
아울러 “시민의 건강과 직결되는 이 중대한 사안이 공청회도 없이 허가됐고, 동의를 해줬다는 주민은 ‘납공장이라는 설명이 없었다’며” “아예 동의 절차에 배제된 특정지역 주민은 배제된 사실에 또 분노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질타했다.
영주납폐기물제련공장반대대책위원회 간사를 맡고 있는 황선종 내성천보존회 사무국장은 <뉴스투데이 대구경북본부>와의 통화에서 “낙동상류 상류 청정지역에 독극물을 취급하는 공장이 허가난 것은 용납할 수 없다”며 “시가 A 업체에 대해 몰래 사업을 허가한 것은 부정과 부패의 사건으로 규정하고, 관련기관에 고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