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뉴스투데이=강지원 기자]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의 오염수 (일본명칭 처리수) 해양방출이 시작된지 1년을 앞두고 있다. 정부와 국제원자력기구 (IAEA)의 모니터링 결과에 따르면 기준치를 초과한 방출은 없었지만, 지역 시민단체에서는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22일 오전 부산환경운동연합은 탈핵부산시민연대, 후쿠시마 핵오염수 투기반대 부산운동본부 등과 함께, 부산시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가지고 오염수 방출의 중단을 촉구했다.
환경운동연합은 기자회견에서, "시민들이 핵오염수 해양투기에 침묵하는 이유를 핵오염수가 바다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다고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며, 오염수 해양방출을 "지구적 범죄 행위"라고 규정했다.
또한 "다핵종제거설비 (ALPS) 는 핵오염수에 포함된 방사능 핵종을 모두 제거할 수 없으며, 희석을 하더라도 방사능 핵종의 총량은 변함이 없다는 것은 바뀌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일본 환경성은 ALPS가 트리튬 이외의 방사성물질을 국제 기준 이하까지 정화처리하고, 처리수에서 트리튬의 농도를 리터당 1,500베크렐 미만까지 희석하여 해양방출할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회견에 참석한 부산 고리2호기 수명연장반대 범시민운동본부의 김해창 교수는 "지금 당장 문제가 없다고 하더라도 장기적으로는 증명되지 않았다"며 "정부가 면죄부를 주고 있다"라고 발언했다.
환경운동연합은 "일본의 범죄 행위를 막아내기 위해 '방사능으로부터 안전한 급식 조례'를 주민발의하고, 도쿄전력을 상대로 국제소송을 제기"하는 등의 부산 시민들의 노력이 있었다며, "윤석열 정부는 일본과 IAEA의 입장을 추종하며 면죄부를 주고 있다"라고 강하게 질타했다.
이어 "핵연료 잔해 (데브리)를 처리하지 않고서는 핵오염수의 발생 자체를 막을 수 없다"며, 데브리의 처리를 촉구하면서도, 도쿄전력이 추진하고 있는 데브리의 반출에 대해서는 "노동자들의 피폭사고, 작업시 발생할 폐기물을 생각하면 더 심각한 문제가 산적해있다"고 지적했다.
부산환경운동연합의 박상현 사무처장대행은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1986년 체르노빌 원자력발전소 사고 당시 소련이 시행했던 것과 같이 콘크리트 석관으로 봉인해야 한다" 라고 데브리의 처리 방안에 대해 입장을 밝혔다.
한편 도쿄전력은 22일, 후쿠시마 제 1원자력발전소의 데브리 반출을 위해 시험적인 준비작업을 개시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