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투데이

검색
https://m.news2day.co.kr/article/20141112059451
헬스클리닉

가족과 자주 식사하는 청소년에게 이런 장점이

글자확대 글자축소
강은희
입력 : 2014.11.12 15:53 ㅣ 수정 : 2014.11.12 15:53

정서 안정시키고 외향적으로 자라게 해 
가천대 조우균 교수팀, 한국영양학회의 영문 학술지 최근호에 발표

 
(뉴스투데이=강은희 기자) 가족과 함께 하는 식사가 잦을수록 좋은 식습관을 갖게 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가천대 식품영양학과 조우균 교수팀은 2010년 5월 서울에서 중학교를 다니는 학생 487명을 대상으로 가족과의 식사 횟수와 식습관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2일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한국영양학회가 출간하는 영문 학술지 ‘영양 연구와 실제(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최근호에 실렸다.
 
이 연구에서 중학생의 69.6%(339명)가 가족이 함께 식사를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주당 가족 식사 횟수는 5∼6회가 가장 많았고(33.7%), 다음은 주 7회 이상(23.2%), 주 3∼4회(20.1%) 순서였다.
 
청소년이 가족과 함께 식사하지 못하는 이유로 가장 많이 언급한 것은 ‘시간이 없어서’(94.7%)였다. ‘식사를 함께 할 필요성이 없어서’(1.2%), ‘가족 간 불화로 분위기가 어색해서’(0.8%), ‘혼자 살아서’(0.2%) 등을 가족이 모여 식사하지 못하는 이유로 꼽은 청소년은 소수에 그쳤다.
 
가족 동반 식사 장소론 음식점(54%)이 오히려 집(35.7%)보다 많아 외식이 빈번해진 세태를 반영했다.
 
배달음식(9.7%)과 테이크아웃(0.8%) 음식까지 포함하면 가족 간의 식사도 ‘집밥’에서 ‘남이 만들어준 음식’으로 옮겨가는 경향을 뚜렷하게 보여줬다.
 
조 교수는 “가족 간 식사횟수가 많은 청소년의 식습관이 더 좋았다”며 “주 6∼7회 가족과 함께 식사를 하는 중학생은 58.1%가 아침을 챙겨 먹는 데 비해, 주 1∼2회 가족 동반 식사를 하는 학생의 아침식사 비율은 16.6%에 그쳤다”고 지적했다.
 
또 ‘적당한 양의 식사를 하는 비율도 55%(주 6∼7회)와 6.6%(주 1∼2회)로 9배 가까운 차이를 보였다.  
 
반대로 방과 후 자율학습이나 개인 교습을 받기 위해 저녁 식사를 거르는 비율은 가족 동반 식사 횟수가 적을수록 높았다. 각각 10.7%(주 6∼7회)와 69.2%(주 1∼2회)로 6배 이상 차이 났다.
 
가족 동반 식사 횟수는 심지어 청소년의 김치와 라면 섭취에도 영향을 미쳤다. 김치는 가족 동반 식사 횟수가 많을수록(주 6∼7회, 65.1%, 주 1∼2회 11.1%), 라면은 가족 동반 식사 횟수가 적을수록(주 6∼7회 7.4%, 주 1∼2회 53.4%) 섭취가 잦았다.
 
조 교수는 “청소년의 가족 동반 식사 횟수가 많을수록 새로운 식품에 대한 공포(food neophobia)가 적었다”며 “가족 동반 식사가 잦은 학생이 품성도 더 외향적이고 매사에 더 긍정적이며 감정적으로 안정성을 보이고 개방적이었다”고 전했다.
 
한편 새로운 음식에 대한 공포증(food neophobia)은 편식을 부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leona01@news2day.co.kr
이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뉴스투데이 & m.news2day.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

생활경제 많이 본 기사

  1. 1 [대형마트 휴무일] 롯데마트·이마트·홈플러스, 11일 정기 휴무
  1. 2 [이 특징주 버핏이라면] 로킷헬스케어 주가, 코스닥 상장 둘째 날에도 13%대 '강세'
  1. 3 [간호법 돋보기 (下)] 최수정 한국전문간호사협회장 “안전하고 고도화된 간호 서비스가 필요한 때”
  1. 4 [대형마트 휴무일] 이마트·롯데마트·홈플러스, 25일 정기 휴무
  1. 5 [N2 스토리] 윤동한 회장이 직접 나섰지만...콜마그룹, 남매간 경영권 갈등 '첩첩산중'
네이버 블로그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유튜브 이메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