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투데이

검색
https://m.news2day.co.kr/article/20200320149941
박용인의 JOB카툰

‘국제회의 기획자’, 한국의 위상을 드높이는 ‘민간 외교관’

글자확대 글자축소
변혜진 기자
입력 : 2020.03.23 10:52 ㅣ 수정 : 2020.03.23 11:23

외국어 능력과 인턴 경험 중요 / 국제회의 기획부터 홍보와 진행까지

[뉴스투데이=변혜진 기자] 최근 몇년 간 한국에서 2019년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등과 같은 국제회의를 개최함에 따라, MICE(Meeting·Incentive·Convention·Exhibition)산업이 활성화되면서 ‘국제회의 기획자(PCO, Professional Convention Organizer)’가 유망 직종으로 떠오르고 있다.

 
[일러스트=박용인]
 

■ 국제회의 기획자가 하는 일은?

 

국제회의 기획자는 행사주최 측으로부터 국제 컨벤션, 회의, 행사 등의 유치권을 위임받아 국제회의 운영·관리를 위한 기획 및 진행, 홍보 업무를 총괄한다.

 

행사 기획을 맡으면 조직운영회와 사무국을 구성하고 연사 등 초청할 사람들을 정한다. 행사추최측을 대행하여 유치하기 위한 각종 서류 및 세부진행설계서를 제출하며 유치권 계약을 체결하는 일도 한다.

 

참가자 등록업무를 포함해서 게스트들의 출입국·숙박 스케줄, 관광 등을 관리하며 회의에 필요한 자료 준비까지 담당한다. 국제회의 진행을 위한 통역사 등을 섭외하는 일도 맡는다.

 

개최예정인 국제회의를 국·내외 참가자 및 관련기관 등에 사전에 홍보하며 국제회의가 종료되면 비디오·결산보고서 및 결과보고서 등을 제출하면서 최종적으로 행사를 마무리한다.

 

■ 국제회의 기획자가 되려면?

 

‘컨벤션 기획사 자격증’을 따는 것이 필수는 아니지만 국제회의 기획자 관련 업무에 대한 이해를 해볼 수 있다.

 

국제회의 기획자가 되기 위한 필수 전공은 따로 없다. 현재 국제회의 기획자로 활동하는 사람들 다수가 관광학 전공이 아닌 영어통번역학, 경제학, 사회과학 등 다양한 분야의 전공자들이다.

 

다만 관련 분야의 인턴이나 운영요원 경험을 해보는 것은 중요하다. 본격적으로 국제회의 기획자를 준비하기 전에 관련 직무가 본인의 적성에 맞는지 알아볼 수 있는 좋은 기회다.

 

또한 국제회의 기획자는 외국어로 커뮤니케이션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공인 영어점수, 프랑스어 등 제2외국어 자격증을 따는 것이 도움이 된다.

 

■ 국제회의 기획자 분야의 현재와 미래는?

 

최근 한국에서 개최하는 국제회의가 늘고 있기 때문에 국제회의 기획자들은 컨벤션 기획업체 등 관련 직군에서 활발히 활동 중이다. 특히 국제회의 산업은 산업 규모의 성장속도가 2017년 기준 연평균 30%를 웃돌 정도로 활성화되고 있다. 따라서 향후에도 국제회의 기획자에 대한 수요가 늘어날 전망이다.

© 뉴스투데이 & m.news2day.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

많이 본 기사

  1. 1 고용노동부, 퇴직연금 의무화 추진하지만 '일시금 수령' 폐지는 사실무근
  1. 2 [지금 일본에선(817)] 급증하는 장기 체류 외국인에 규제카드 만지작
  1. 3 [직장 돋보기 분석] 한화손해보험, 평균연봉1억600만원인 최초의 민족자본 손보사, 나채범의 '여성 특화' 전략이 성장 주도
  1. 4 [SK AX가 일하는 법] AI로 채용하고, AI로 일한다… AI 산출물에 대한 해석력이 중요해져
  1. 5 '65세 정년 연장' 신호탄 쏜 김민석 총리... 양대 노총과 청년층 간 미묘한 갈등 조짐
네이버 블로그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유튜브 이메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