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투데이

검색
https://m.news2day.co.kr/article/20201223500126

지상군 작전의 중추적 역할 담당할 육군 지휘통제체제(ATCIS) 2차 양산사업 착수

글자확대 글자축소
김한경 안보전문기자
입력 : 2020.12.23 11:23 ㅣ 수정 : 2020.12.23 11:23

사업비 1504억원 투입, 전방 2개 군단·해병대사·동원전력사 등에 2023년 10월까지 배치

[뉴스투데이=김한경 기자] 전·평시 지상군 작전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게 될 육군 지휘통제체제(ATCIS) 2차 양산사업이 전방 군단 일부와 해병대사 등을 대상으로 시작됐다. 

 

방위사업청은 23일 ATCIS(Army Tactical Command Information System) 2차 성능개량체계를 전방 2개 군단과 해병대사령부, 육군 동원전력사령부 등에 배치하는 2차 양산 사업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image
사진은 육군의 한 부대가 노트북과 대형 모니터 등 ATCIS 장비를 활용해 아군과 적군의 위치 등 각종 정보를 활용해 작전을 수행하고 있는 모습. [사진제공=연합뉴스]

 

육군 C4I체계인 ATCIS는 감시정찰·상황인식·작전지침하달·세부작전지시·공격 등 감시·결심·타격을 연계하여 전장을 가시화하는 지휘통제체계로, 전·평시 지상군 작전의 핵심 역할을 담당하는 체계이다.

 

2차 양산 사업에는 사업비 1504억 원이 투입되며, 이달부터 오는 2023년 10월까지 배치된다.  2차 양산 이후에는 주요 지역 군단, 기동군단 등 지상군 전력의 약 75%가 새로운 체계로 대체돼 지상군 작전 수행능력이 대폭 증대된다.

 

2005년 최초 전력화된 ATCIS는 지난 2011년 1차 성능개량을 한 후 2017년 2차 성능개량을 완료하여 현재 양산을 진행하고 있다. 1차 양산분은 2018년 12월부터 2020년 6월 말까지 전방 군단 일부 등에 먼저 배치됐다. 

 

이번에 착수하는 2차 양산분은 SW기능, 연동능력, 보안성 등이 추가적으로 향상되며, 기동·상륙작전 등 부대별 수행 임무 및 특성을 고려해 맞춤화 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방사청은 “체계가 전력화되면 지휘통제능력이 대폭 향상돼 지상군 전력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부 언론에서는 1차 양산 때 이미 포함된 기능인 최적의 공격 방법을 지휘관에게 자동 추천하는 소프트웨어 탑재를 부각하고 있으나 이 기능은 아직 우리 군이 제대로 사용할 수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는 감시·결심·타격체계와 실시간 연동해 지휘관의 판단과 결심을 지원하는 역할을 할 뿐이다. 

 

이 분야에 정통한 한 전문가는 “그런 기능을 가진 소프트웨어가 있어도 현실적으로 한국군이 사용 가능한 데이터가 대단히 부족하기 때문에 결국 과정마다 사람이 개입하여 판단하고 결심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khopes58@news2day.co.kr
이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뉴스투데이 & m.news2day.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

시큐리티팩트 많이 본 기사

  1. 1 KISA, 신기술 보안 제품·서비스 개발 18개 과제 사업자 최종 선정
  1. 2 [방산 이슈 진단 (131)] 국방 AI 도입 성과 있으려면 현행 국방획득체계의 근본적 개선이 우선돼야 한다
  1. 3 국방 초거대 AI 구현, “분산된 노력 통합하고 생성형 AI 생태계 조성해야”
  1. 4 펀진, 연구기관 병역지정업체 선정…핵심 인재 영입과 전문인력 양성 체계 구축
  1. 5 명지대 국방우주안보연구센터, ‘2025 국방 우주안보 발전 세미나’ 개최
네이버 블로그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유튜브 이메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