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투데이

검색
https://m.news2day.co.kr/article/20210514500135

LIG넥스원, 1640억원 규모의 ‘해상감시레이더-Ⅱ’ 양산 계약 체결

글자확대 글자축소
김보영 기자
입력 : 2021.05.14 11:45 ㅣ 수정 : 2021.05.14 11:45

미국과 기술협력 생산한 기존 레이더보다 탐지능력과 정확도 향상됐고 내년부터 전력화 가능

image
LIG넥스원이 독자 연구개발에 성공한 ‘해상감시레이더-Ⅱ’의 모습.[사진=연합뉴스]

 

[뉴스투데이=김보영 기자] 해상에서 이동하는 선박과 저고도 항공기에 대한 탐지능력과 정확도가 향상된 국산 해상감시레이더가 내년부터 전력화된다.

 

방위사업청은 14일 LIG넥스원과 약 1640억 원 규모의 해상감시레이더-Ⅱ 양산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해상감시레이더-Ⅱ는 LIG넥스원에서 독자 연구개발에 성공한 장비로, 미국 업체와 기술협력 방식으로 생산된 기존 레이더보다 인접한 표적을 분리·식별하는 탐지능력과 정확도가 향상됐다.

 

레이더 안테나 외부에 보호 덮개를 씌운 ‘레이돔(Radome)’ 형상이 적용돼 강풍과 태풍에도 영향을 받지 않고 24시간 중단 없이 운용할 수 있다.

 

게다가 레이다빔 방사 방식을 디지털로 변경해 열과 충격에 강하고, 전력 소모를 줄이는 등 안정성도 높아졌다고 방사청은 설명했다. 이 레이더는 내년부터 해군에 순차적으로 배치돼 동·서·남해 전 해역에 설치된다.

 

방사청 관계자는 "해상감시레이더-Ⅱ의 독자적 국내 개발과 안정적 양산체계 구축으로 우리 군의 해상감시와 조기대응 능력이 한층 더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 뉴스투데이 & m.news2day.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

시큐리티팩트 많이 본 기사

  1. 1 [방산 이슈 진단 (134)] 무인체계의 전략적 운용 이뤄지려면 미군처럼 ‘그룹-3’ 드론 중심의 신속한 획득과 임대형 계약 제도 도입 필요
  1. 2 방사청, 방산기술 보호지원 업무 전담기관으로 ‘국방기술품질원’ 지정
  1. 3 KAI,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2025 지속가능성 보고서’ 발간
  1. 4 [투데이 Pick] '진격의 K-방산'...올해 수출 역대 최대 33조원 거머줘 글로벌 '빅4' 노린다
  1. 5 한국방위산업진흥회, 루마니아 부쿠레슈티서 ‘한-루마니아 방산설명회’ 개최
네이버 블로그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유튜브 이메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