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투데이

검색
https://m.news2day.co.kr/article/20211020500196

“환경부 산하 공공기관, 文 정부 이후 4482억원 증가”

글자확대 글자축소
황재윤 기자
입력 : 2021.10.20 16:22 ㅣ 수정 : 2021.10.20 19:28

image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국민의힘 간사 임이자(경북 상주·문경) 의원 [사진제공 = 국민의힘 임이자 의원실]

 

[뉴스투데이=황재윤 기자] 환경부 산하 공공기관의 부채가 4482억원이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총 부채는 10여억원 이상에 달한다.

 

20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국민의힘 간사 임이자(경북 상주·문경) 의원이 환경부 산하 12개 기관을 전수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이들 공공기관의 총 부채는 15조 6289억원으로, 문재인 정부 출범 첫 해인 2017년보다 4482억원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이들 기관의 억대 연봉자는 824명에서 1370명으로, 12개 산하기관 전체 임직원에서 억대 연봉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2017년 9%에서 2018년 10.3%, 2019년 13.3%, 2020년 14%로 증가했다.

 

억대 연봉자 비율이 가장 높은 기관은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로 지난해 기준 전체 임직원 291명 가운데 79명이었다.

이어 한국수자원공사 24.1%(5248명 중 1268명),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21.4%(14명 중 3명), 한국환경산업기술원 9.4%(351명 중 33명)이 뒤를 이었다.

 

환경부 산하 공공기관의 1인당 평균 연봉은 6600만 원이었다. 1인당 평균 연봉이 가장 높은 기관은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으로 지난해 성과급을 포함하여 9000만원이 지급됐다. 이어 수자원공사(8200만원),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7700만원), 한국환경산업기술원(7300만원) 순이었다.

 

성과급을 포함한 기관장 연봉이 가장 높은 기관은 수자원공사로 총 2억 1200만원이 지급됐다. 이어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2억 800만원,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1억 9500만원, 한국환경산업기술원 1억 9100만원, 한국수자원조사기술원 1억 8900만원 등으로 집계됐다.

 

임이자 의원은 “지난해 섬진강 수해로 인한 피해 주민들이 1년이 넘도록 피해 보상을 받지 못하거나 수도권 대체매립지를 구하지도 못하고 있는데도 해당 기관의 억대 연봉자가 늘어나고 있다는 사실에 국민들은 허탈함을 느낄 것”이라며 “적극행정에 기반한 경영으로 이런 우려를 불식시켜야 한다”고 지적했다.

 

 

newsdeer@news2day.co.kr
이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뉴스투데이 & m.news2day.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

많이 본 기사

  1. 1 "2025 군산 광어다운샷 대회" 전국 낚시인 열기 후끈...540명 전국 낚시꾼 모여
  1. 2 "꽃놀이 가자" 울산시, '2025 태화강 국가정원 봄꽃축제' 개최
  1. 3 심 민 임실군수, ‘임실N펫스타’ 현장서 군민과 소통…임실치즈농협 부스 찾아 고향사랑기부제 홍보
  1. 4 조국혁신당 김왕중 임실군 의원, 이재명 파기환송에 직격탄…대선·지선 동시 주자로 존재감 강화
  1. 5 [기자의눈] 서거석 교육감 흔들려도, 전북교육은 흔들리지 않아야 한다
네이버 블로그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유튜브 이메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