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투데이

검색
https://m.news2day.co.kr/article/20240122500075

2023년 인기 높아진 직무 1위 ‘영업·판매·무역'

글자확대 글자축소
박진영 기자
입력 : 2024.01.22 12:51 ㅣ 수정 : 2024.01.22 17:31

사람인, 2023년 직무별 공고 증감 분석
증가=영업·판매·무역>상품기획‧MD>교육 순
감소=인사·노무·HRD>건설‧건축>디자인 순

 

image
사람인이 2022년 대비 2023년 직무별 공고 증감 분석 결과를 22일 발표했다. 지난해 경기 침체의 영향으로 매출 증대에 빠른 영향을 미치는 영업·판매·무역 직무의 공고수는 증가한 반면, 매출 증대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인사·노무·HRD 직무의 공고수는 줄었다. 건설 경기 시장 악화와 코로나 기간 특수 산업 부진으로 건설·건축, IT개발·데이터 등 직무에서도 공고수 감소세가 두드러졌다.  [사진=사람인]

 

[뉴스투데이=박진영 기자] 지난해 경기 침체로 인해 매출 향상에 도움을 주는 영업·판매·무역 직무 공고수는 증가하고, 사무 직무인 인사·노무·HRD은 감소했다.

 

사람인(대표 김용환)은 2022년 대비 2023년 직무별 공고 증감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공고가 가장 많이 증가한 직무는 영업·판매·무역으로, 2022년보다 10.7% 증가했다. 기업들이 경기 침체를 극복하기 위해 매출 증대에 빠른 영향을 미치는 영업이나 상품기획 인원을 늘린 것으로 풀이된다. 

 

다음으로 ▷상품기획·MD(5.2%↑) ▷교육(4.8%↑) ▷마케팅·홍보·조사(4.4%↑) ▷생산(3.9%↑) ▷서비스(3.7%↑) ▷공공·복지(2.4%↑) ▷연구·R&D (1.3%↑) 등의 직무가 전년대비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2022년보다 공고가 감소한 직무는 ▷인사·노무·HRD(13.4%↓) ▷건설·건축(10%↓) ▷디자인(9.1%↓) ▷IT개발·데이터(7.4%↓) ▷총무·법무·사무(6.9%↓) ▷미디어·문화·스포츠(6%↓) ▷회계·세무·재무(5.3%↓) ▷기획·전략(2.5%↓) 순이다. 

 

지난해 공고 수가 감소한 직무는 경기 침체에 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사람인 관계자는 22일 뉴스투데이와 통화에서 "지난해 경기 침체의 영향으로 인문계열 대표 직무에서 공고 수의 변화가 있었다"며 "인사·노무·HRD와 총무·법무·사무 직무의 공고수가 줄었다"고 밝혔다. 경기가 악화된 건설·건축 분야 구인 공고수도 자연히 감소한 것으로 분석된다.

 

코로나 기간 특수를 누렸던 직무의 수요 감소도 눈에 띈다. 지난해 사람인이 자체 데이터를 분석해 발표한 ‘채용시장 공급과 수요 현황 조사’ 결과, 2021년 6월부터 2022년 5월까지 1년간 공고수(수요) 대비 지원자수(공급)가 가장 부족한 직무가 IT개발‧데이터(41.8%)로 나타난 바 있다. 수요가 너무 높아 심각한 구인난을 겪던 직무가 불과 1년여만에 수요 감소를 보인 것이다.  

 

© 뉴스투데이 & m.news2day.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

JOB 많이 본 기사

  1. 1 [지금 일본에선(810)] 집값상승에 부동산시장 뛰어드는 일본 직장인들
  1. 2 [중동 쇼크 ②] 다시 인질이 된 국제원유, 확전여부 따라 100달러 테스트
  1. 3 [중동 쇼크 ①] 비트코인 10만달러 흔들, 금융 환율도 줄줄이 충격파 예고
  1. 4 [한화생명이 일하는 법] 최초의 외국인 공채 바니아의 '리얼 적응' 소개, '글로벌 금융기관' 진화를 겨냥
  1. 5 [2025 KPC 인문학여행] 서희태 지휘자의 인문학 강연, 예술과 삶을 잇다..."오페라는 시대를 말한다”
네이버 블로그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유튜브 이메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