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뉴스투데이=김태형 기자]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가 대선을 약 한 달 앞둔 시점에서 사장 선임 절차를 진행하면서 부산 지역 정치권을 중심으로 '알박기 인사' 논란이 확산하고 있다. 이에 대해 캠코는 "사장 임명은 외부 결정 사항"이라며 원론적인 입장을 내놨다.
캠코는 29일 임시주주총회를 열고 차기 사장 후보를 의결할 예정이다. 캠코 관계자는 이날 본지와의 통화에서 "사장 임명은 내부적으로 결정하는 사안이 아니라 외부 주체에 의해 이뤄지는 것"이라며 "캠코 차원에서 드릴 수 있는 입장이나 답변은 없다"고 말했다. 또 "현재 사장 선임과 관련한 절차는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공운법)'에 따라 규정된 과정을 준수해 진행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공운법에 따르면 공기업 기관장은 임기가 만료되기 2개월 전 임원후보추천위원회를 구성하고 이후 후보자 공모 및 이사회·주주총회 의결을 거친다. 주무부처 장관의 제청을 받아 대통령이 최종 임명하는 구조다. 캠코도 이번 사장 선임에 이 같은 절차를 따르고 있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절차 준수 여부와 별개로 대선을 불과 한 달여 앞둔 시점에서 추진되는 인사가 "새 정부 인사권을 침해할 수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특히 캠코는 금융위원회 산하 공공기관으로 그간 기획재정부와 금융위 출신 고위 관료들이 사장을 맡아 온 점도 논란을 키우고 있다.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대통령 권한대행 체제에서는 가급적 현상 유지에 집중해야 한다"며 "새 정부 출범 이후로 기관장 선임을 미루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지적했다. 다른 관계자도 "캠코 사례가 다른 공공기관 인사에도 영향을 줄 수 있어 우려된다"고 말했다.
캠코는 이번 주총 결과를 금융위원회에 통보하고 이후 대통령 임명 절차를 기다릴 것으로 보인다. 캠코 사장 최종 임명은 결국 현 정권 막바지에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