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수 “위안부 단체가 당사자 소외…日 10억엔 문제 알리지 않아”

김덕엽 기자 입력 : 2020.04.25 05:10 ㅣ 수정 : 2020.04.25 05:36

국내 생존 위안부 할머니 18명 정부·지자체 차원 ‘처우개선’ 시급…단체 명칭 변경·21대 국회 위안부 특별법 제정 등 필요성 대두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지난 22일 중구 서문로 소재 희움 일본군위안부역사관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여성인권운동가 이용수 할머니(오른쪽)의 비판을 김우철 조선의열단 대구지회장(왼쪽)이 청취하고 있다. [뉴스투데이/대구=김덕엽 기자]
 

[뉴스투데이/대구=김덕엽 기자] 정부에 등록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중 생존한 18명에 대한 처우개선 문제가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위안부 문제와 관련된 시민·사회단체 차원의 운동에 실제 당사자인 위안부 피해자들은 철저히 소외된 것으로 드러났다.

 

여성인권운동가인 이용수 할머니는 지난 22일 대구시 중구 서문로 소재 희움 일본군위안부역사관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지난 수십년간 국내를 비롯한 일본과 동남아, 미국까지 순회하며, 위안부 문제를 국제적 이슈로 이끌어냈지만 정작 당사자들은 단체에서 철저히 소외되고, 생계와 생존을 걱정해야될 처지에 놓이게 됐다”고 성토했다.

 

이용수 할머니는 “2016년 박근혜 정부 당시의 외교부가 일본의 위안부 ‘화해·치유재단’ 출연금 10억원 문제와 관련해서도 위안부 단체들은 당사자인 자신들에게 해당 사실을 전혀 알리지 않았고, 일본의 재단 출연금 문제는 일본의 지인을 통해 알게 되었다”고 원망했다.

 

그러면서 “일본의 모욕적인 위안부 출연금 10억엔 반환 문제 등은 전혀 해결 조짐도 없고, 그저 생존과 생계를 걱정해야할 처지에 놓여 이제 만사가 싫고, 모든 위안부 운동을 중단하고, 그저 하늘나라로 가고싶을 뿐”이라고 개탄했다.

 

김인성 일제피해자보상연합회장과 최용상 아시아태평양전쟁연구소 소장 또한 간담회에서 정신대할머니와 함께하는 시민모임 이사장에게 “위안부 문제에 있어 당사자는 이용수 할머니를 포함한 위안부 할머니들이지만 당사자들은 소외시킨 채 조직 먹고 살기에만 혈안인 점을 한탄하지 않을 수 없다”고 질타했다.

 

김우철 조선의열단 대구지회장도 희움 일본군위안부역사관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위안부 할머니들의 처우개선 문제와 당사자들의 소외 문제를 꼬집었다.

 

김우철 대구지회장은 “해당 단체의 정신대·성노예 명칭 사용에 대해서도 당사자인 이용수 할머니께서 불만을 밝히고 있는 만큼 할머니의 입장을 존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일각에선 김복동 센터관 건립을 추진하고 있지만 위안부 문제를 국제사회 이슈로 이끌어낸 이용수 할머니에 대한 평가가 이뤄져야 한다”며 “대구에선 이용수 할머니의 인권평화정신을 계승해야할 국가 차원의 이용수 건립관 건립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이용수 할머니를 비롯한 위안부 할머니들의 처우개선을 위해 정부와 지자체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하고, 제21대 국회 또한 생존한 위안부 할머니들을 위한 특별법을 제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지회장은 “할머니들이 생존하는 동안 하루라도 빨리 남·북한 위안부할머니 연대를 결성해서 역사적인 문제를 전방위적으로 공론화해야할 필요까지 있다”고 피력했다.

 

BEST 뉴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
 

주요기업 채용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