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선배 합격 7계명]⑬ SK플래닛, 서류는 ‘양보다 질’ 면접은 ‘공손한 자신감’ 중요

강이슬 기자 입력 : 2019.01.13 05:55 ㅣ 수정 : 2019.03.28 10:53

[직장선배 합격 7계명]⑬ SK플래닛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 [사진제공=SK플래닛]

뉴스투데이가 취준생들에게 취업성공전략을 조언하는 ‘직장선배 합격 7계명’ 시리즈를 시작합니다. 2017년 연재해 취준생들의 많은 관심을 받았던 ‘직장선배 취업팁’과 ‘인사팀 합격 10계명’의 후속기획입니다. 취준생들이 원하는 직장에 먼저 취업한 선배들이 전하는 취업성공전략을 7개 핵심전략으로 추려 취준생들의 취업 성공을 응원합니다. <편집자 주>


자격증‧대회활동 횟수‧영어 점수보다 ‘나’에 대한 공부가 먼저

[뉴스투데이=강이슬 기자] SK플래닛은 데이터 인프라를 기반으로 ICT 시너지, 마케팅 플랫폼, 데이터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11번가, 시럽, OK캐쉬백, 기프티콘 등이 주요 사업이다.

SK플래닛은 채용의 목적 및 타깃 인력에 따라 신입사원, 경력채용, 글로벌 채용 등으로 채용 유형이 나뉜다. 세부 프로세스는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보통 모집, 서류전형, 필기전형, 면접전형, 건강검진 순으로 채용이 진행된다. 신입 채용시 학력, 성별 등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SK플래닛 관계자는 “무턱대고 회사 100개에 지원하는 것이 아니라, 나를 잘 알고 나서 심사숙고해서 고른 회사 10개에 넣는 것이 더 승률이 높다고 본다”라며 “본인에게 맞는 길을 찾았다면 의지를 관철해서 반드시 좋은 일을 만들어 내시기를 간절히 바란다”라고 응원했다.

① 서류전형 - ‘양보다 질’, 대외활동 10개보다 한 개의 장점을 드러내라

SK플래닛은 지원자의 출신 학교, 전공, 학점, 나이는 모두 필터링 되어 있는 상태로 지원 서류를 정독한다. 채점도 개별 문항별로 세세한 기준에 따라 꼼꼼히 읽어본다고 밝혔다. 그렇기 때문에 채용 지원서를 뻔하게 쓰면 안 된다고 조언한다.

SK플래닛은 “자소서는 ‘양’보다 ‘질’을 본다”라며 “동아리, 대외활동을 10개 한 것보다 어떤 것 하나를 내 장점을 모두 드러낼 수 있는 방식으로 탁월하게 해냈으면 그게 더 좋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서류를 읽는 사람의 관점을 생각해 보면 답이 나온다”와 “SK플래닛은 개성을 중요시하는 문화를 고려하는 게 좋다”라는 조언도 덧붙였다

② 외국어 - ‘성적’보단 ‘글로벌 마인드’ 갖춘 인재 어필해야

외국어는 ‘성적’보다 ‘글로벌 역량’이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SK플래닛은 채용시 비즈니스 직군만 영어성적을 필수로 내고 있다. 해외 영업직군은 당연히 영어를 잘 해야 하지만, 일반 직군에서는 영어가 필수가 아니란 뜻이다.

SK플래닛은 “단지 외국어를 잘 하는 게 아니라 외국에 대해 열린 ‘오픈 마인드’, 즉 다양한 문화, 다양한 사람을 수용할 수 있는 역량을 주로 본다”라며 “업무를 넓은 글로벌적인 관점에서, 다양한 문화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③ SK 인적성검사 SKCT, “많이 푸는 수밖에”

SK플래닛도 SK그룹에서 2013년부터 도입한 인‧적성검사 SKCT를 필기전형으로 진행하고 있다. SKCT는 SK에서 직무 수행을 위해 요구되는 역량을 다양하고 종합적인 관점에서 측정하고 있으며, 일하는 데 필요한 복합적이고 고차원적인 사고능력을 측정하는 인지역량 (Critical Thinking), 일하면서 부딪치는 문제상황에서 적절한 판단을 내일 수 있는지를 측정하는 실행역량 (Situational Judgment), 그리고 일하는 데 적합한 성격, 가치관, 태도를 갖추고 있는지 측정하는 심층역량(Work Personality)으로 구성돼 있다. 

 

SK플래닛 관계자는 SKCT 준비에 대해서는 ‘정공법’을 택하는 수밖에 없다고 조언한다. 꾸준히 문제집을 많이 푸는 것이 실전에 도움이 된다는 설명이다.

④ 면접 - ‘공손한 자신감’ 중요..‘정답’보단 ‘과정’을 드러내는 답변

SK플래닛의 면접 전형은 개개인에게 심층적으로 접근하여 각 지원자의 가능성을 검증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 때문에 단기간 준비하는 것보다 기본 역량을 충실히 쌓아온 지원자들에게 유리하다.

면접 과정 중에는 ‘공손한 태도’와 ‘자신감’ 둘 다 중요하다고 전했다. 어떤 면접관 앞에 서더라도 머뭇머뭇 떨지 않되, 과한 자신감으로 건방져 보이지 않아야 된다는 조언이다.

또한, SK플래닛 관계자는 “면접에서 드리는 질문들에는 사실 정답이 있는 게 아니다”라며 “면접관이 ‘1+1이 뭐예요?’라는 질문하면 ‘2입니다’라는 답을 기다리는 게 아니라, 면접자가 어떤 과정을 거쳐서 그 답에 이르게 되는지가 궁금해서 물어보는 것”이라며 ‘답’보단 ‘답을 낸 과정’을 중시해 말하는 자세가 중요하다고 귀띔했다.

⑤ 기업 공부보다 본인에 대한 공부가 우선돼야

SK플래닛 관계자는 회사에 대해 알기 전에, 먼저 ‘본인 스스로’에 대한 공부를 철저히 하라고 조언했다. 그래야 회사에서만 사람을 고르는 게 아니라, 본인이 정말 행복하게 다닐 수 있는 곳을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관계자는 “본인 스스로에 대한 공부가 철저히 되어 있어야, 서류전형에서 자신의 능력을 최대로 드러낼 수 있고, 면접 과정에서도 본인의 역량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⑥ 인턴TIP – 무거운 엉덩이보단 ‘최고의 결과’를 보여라

 

SK플래닛 관계자는 인턴과정을 거쳐 정식 채용된 합격 비법으로 ‘최고의 결과를 보여드린다는 마음가짐’을 꼽았다. 다른 인턴들은 긴장을 팍 하고 하루 종일 자리에서 일어나는 사람이 거의 없을 정도였지만, 김 매니저는 자유분방하게 일하되, ‘최고의 결과’를 보여드린다는 마음으로 회사를 누빈 것이다.

김 매니저는 “입사 후에, 인턴 당시 팀장님을 나중에 만나자 인턴이 그렇게 사무실에서 자리를 자주 뜨는 사람이 없어서 약간 놀랐다고 하시더라”라며 “일을 잘 하면서 즐겁게 해내는 제 모습을 보니까 주변 분들의 평가가 좋았던 것 같다”라고 말했다.

⑦ HR 부서 지원 – 전공 무관, ‘집돌이‧집순이’보단 ‘외향적’ 모습 보여야

HR부서 지원시 전공은 무관하다고 밝혔다. SK플래닛 관계자는 “HR과 아무 상관없는 공대를 졸업하신 개발자 출신도 있고, 이공계 분들도 여럿 있다”라고 말했다. HR관련 자격증도 ‘필수’는 아니라고. 일반적인 기업의 HR 직무는 인문계열 전공에, 인사 관련 자격증을 갖춘 인재를 채용한다. 하지만 SK플래닛은 HR 관련 자격증은 플러스 요소가 되긴 하지만 절대 필수는 아니라고 설명했다.

대신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중요하게 본다. 캠퍼스 리크루팅 등을 통해 구직자를 많이 만나는 업무를 하기 때문이다. ‘집돌이‧집순이’ 보다는, 사람들을 많이 만나고 좋아하는 게 필수라고 조언했다. SK플래닛 관계자는 “사람을 대하는 예의가 있어야 하지만, 센스도 있는 사람이 좋다”라며 “딱딱한 틀 안에서 사는 것이 아니라 어디서나 분위기를 부드럽게 만들며, 사회생활을 눈치 있게 잘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
 

주요기업 채용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