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점뉴스] 슬그머니 PB 상품 가격 올린 대형마트 3사… 소비자단체 "생필품 가격 인상 신호탄" 우려

김소희 기자 입력 : 2021.11.17 17:44 ㅣ 수정 : 2021.11.18 00:20

이마트 최다·최대 인상… 1년새 최대 126% 올라… 2개 중 1개 꼴/ "'품질 좋은 제품 싸게 판매' 장점 사라져 소비자 발길 멀어질 수도"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image
[사진=이마트 LIVE 유튜브 채널 갈무리]

 

[뉴스투데이=김소희 기자] 이마트(대표 강희석)와 롯데마트(대표 강성현), 홈플러스(대표 이제훈) 등 대형마트 3사의 자체브랜드(PB) 상품 중 이마트의 피코크와 노브랜드가 가격을 최다·최대 인상한 것으로 조사됐다. 

 

민간소비자단체인 한국여성소비자연합은 대형마트 3사의 PB 상품 총 2176개 중 가격 비교가 가능한 1603개를 조사한 결과를 17일 내놨다. 조사 기간은 지난 6월 30일부터 7월 15일까지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의 가격 차이를 비교했다.

 

그 결과 1603개 PB 상품 중 514개(32.1%)의 가격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1년 사이 10개 중 3개의 가격이 오른 셈이다. 

 

대형마트 3사 가운데 이마트는 564개 중 283개(50.2%), 롯데마트는 499개 중 38개(7.6%), 홈플러스는 540개 중 193개(35.7%)의 PB 상품 가격을 인상했다.

 

가격이 오른 이마트 PB 상품 283개 가운데에서는 식품이 277개, 비식품이 6개였다. PB 브랜드별로는 피코크가 179개, 노브랜드가 104개를 차지했다. 피코크의 경우 최소 0.4%에서 최대 126.6%까지 가격이 뛰었고, 상위 10개 품목의 평균 인상률은 79.6%로 나타났다. 노브랜드 비식품 상품의 평균 인상률은 7.8%였다. 

 

'요리하다'와 '온리프라이스', '초이스엘' 등 3개의 PB 브랜드를 운영 중인 롯데마트는 38개 상품의 가격을 인상한 것으로 조사됐다. '요리하다'는 243개 중 23개, '온리프라이스'는 203개 중 10개, '초이스엘'은 53개 중 5개가 1년 사이 가격이 올랐다. 

 

'요리하다'의 가격 인상폭은 최저 0.13%에서 최고 76.4%였으며, 그 중 흑임자볶음깨(66%)와 국내산 볶음참깨(68.8%), 국내산 참기름(76.4%) 등 3개 상품은 50% 이상 인상률을 보였다. 이는 지난해 참깨 생산량이 전년 대비 47.7% 감소한 영향이다.

 

image
마트 3사 PB상품 인상수, 인상률 [표=한국여성소비자연합]

 

'온리프라이스'의 경우에는 식품 3개, 비식품 10개가 가격이 뛰었다. 평균 가격 인상률은 66%였다. '초이스엘'은 가격 인상 제품 수가 5개였으며, 평균 인상률은 20.4%로 집계됐다. 

 

홈플러스는 식품보다 비식품 PB 상품의 가격 인상이 더 많았다. 

 

홈플러스는 2020년 PB상품 브랜드 시그니처를 론칭했다. 시그니처 브랜드 412개 상품 중에서는 141개 제품의 가격이 올랐다. 그중 식품은 42개로 평균 17.4% 뛰었고, 비식품은 99개로 평균 22.7% 상승했다. 

 

홈플러스의 또 다른 PB 브랜드인 심플러스는 95개 제품 중 44개의 가격이 올랐다. 그중 식품은 평균 18.3%, 비식픔은 평균 24.8% 가격이 상승했다. 홈플러스의 초기 PB 브랜드인 '좋은상품'은 판매되고 있는 제품이 거의 없지만, 6개 제품의 가격이 평균 22.8% 올랐다.

 

여성소비자연합 관계자는 “대형마트가 용량이나 제조사 등을 변경하면서 제품 가격을 인상할 경우 소비자들은 이전 제품과 가격을 비교하기 어렵기 때문에 깜깜이 인상이 될 여지가 크다”면서 “특히 식품류 판매율이 비교적 높은 상황에서 식품류에 대한 인상은 향후 생필품 가격 인상의 신호탄이 될 것”이라고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인하대학교 소비자학과 이은희 교수는 “PB 상품은 광고가 필요 없기 때문에 저렴하다. 그 때문에 소비자들이 많이 구매한다”면서 “특히 이마트는 품질 좋은 제품을 값싸게 판매한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그런데 가격을 야금야금 올리게 되면 장점이 사라지고 소비자의 발걸음도 멀어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BEST 뉴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
 

주요기업 채용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