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준 기자 입력 : 2022.01.11 17:01 ㅣ 수정 : 2022.01.11 17:01
쌍용차, 18년만에 국내기업 품에 안겨...채권단 동의와 경영정상화 자금 마련 등 숙제 수두룩
쌍용자동차 평택공장 정문 [사진=연합뉴스]
[뉴스투데이=김태준 기자] 에디슨모터스 컨소시엄(이하 에디슨모터스)이 우여곡절 끝에 10일 쌍용자동차(이하 쌍용차) 최종 인수합병(M&A) 본계약에 도장을 찍었다.
최종 계약 체결은 에디슨모터스가 지난해 10월 20일 쌍용차 인수를 위한 우선협상 대상자로 선정된 이후 80여일 만이다.
인수금액은 3048억원이다.
또한 쌍용차는 2004년 중국 상하이자동차에 매각된 이후 18년 만에 국내 기업 품에 다시 안겼다. 이에 대해 대다수 전문가들은 그동안 갈팡질팡하는 모습을 보여온 쌍용차 문제가 7부 능선을 넘어섰다는 평가를 하고 있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에디슨모터스는 10일 쌍용차 인수를 위한 본계약을 체결했다. 이와 관련해 에디슨모터스는 인수대금(3048억원)의 10%(이행보증금 포함)에 해당하는 계약금(305억원)을 납입 했다.
그러나 안심하기에는 아직 이르다. 쌍용차가 경영정상화의 길을 걷기 까지 넘어야 할 산이 수두룩하기 때문이다.
우선 에디슨모터스와 쌍용차는 오는 3월1일까지 서울회생법원에 ‘회생계획안’을 제출하고 산업은행 등 채권단으로부터 3분의 2 이상 동의를 얻어야 한다.
회생계획안에는 쌍용차 정상화를 위해 구체적인 자금조달계획과 사업계획을 제시해야 한다. 이에 대해 업계에서는 가장 중요한 회생계획안의 채권단 동의가 쉽지 않을 것으로 점치고 있다. 지금까지 에디슨모터스가 내놓은 자금조달계획과 사업계획이 거의 대부분 '의문점 투성'이기 때문이다.
우선 에디슨모터스의 자금조달계획이 명확하지 않다. 2020년 매출액 897억원인 전기 버스 제조업체가 연매출 2조9297억원인 쌍용차를 인수하겠다는 의사를 밝힐 때부터 자금조달능력이 늘 의문부호로 따라다녔다. '새우가 고래를 삼켰다'는 지적이 나온 것도 이와 같은 이유다.
설상가상으로 에디슨모터스는 키스톤PE과 강성부펀드(KCGI)를 재무적투자자(FI)로 컨소시엄을 꾸렸지만 최근 키스톤PE가 투자 결정을 유보해 전체 투자자금 중 1050억원이 부족한 상태다.
업계에서는 쌍용차 경영정상화까지 필요한 자금이 최소 1조5000억원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러한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에디슨모터스는 7000억원을 내부자금과 FI를 통해 조달하고 절반가량인 8000억원은 쌍용차 시설을 담보로 채권단 산업은행을 통한 대출을 계획했다. 그러나 산업은행이 이를 사실상 거절해 자금 마련에 빨간 불이 켜졌다.
이에 에디슨모터스 관계자는 “키스톤 PE를 대신해 KCGI가 투자금을 늘리도록 협의하고 있으며 대안으로 다른 투자자도 찾는 중”이라며 “쌍용차 인수 후 추가 자금은 유상증자, 회사채 발행 등 여러 방안이 있어 인수와 운영자금 조달은 큰 이상이 없다”고 해명했다.
쌍용차 인수 후 향후 사업계획도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쓴소리가 쏟아져 나오고 있다. 에디슨모터스는 쌍용차를 인수한 뒤 올해 상반기 기존 내연기관차를 전기차로 바꾸고 올해 하반기에 전기자동차 3~5종을 새로 내놓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일반적으로 신차를 개발하는데 걸리는 기간은 3년, 소요되는 자금은 최소 2000억이 필요하다. 특히 전기차는 전용 플랫폼, 배터리, 모터 등 개발비용이 많이 든다. 에디슨모터스이 밝힌 계획대로 5종이 넘는 새로운 전기차를 개발하려면 최소1조원 이상 자금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업계 관계자는 “기업 인수는 자신감만으로 해결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니라 실행 가능한 내용으로 구성된 철저한 계획안이 필요하다”며 “에디슨모터스가 산업은행을 비롯한 채권단을 설득할 수 있는 명쾌하고 분명한 회생계획안으로 쌍용차 정상화를 이끌어 대한민국 자동차 산업에 이바지하길 바란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쌍용차는 “지금까지 어려운 과정을 거쳐 본 계약을 체결해 조속한 시일내에 회생계획안 제출, 관계인 집회 동의, 법원 인가를 거쳐 경영정상화를 일궈내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