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점뉴스] '갈등의 정치' 거부한 김동연 경기도지사, '제2의 노풍' 만들까

모도원 기자 입력 : 2022.11.07 06:53 ㅣ 수정 : 2022.11.07 09:35

정쟁에 거리두며 민생정책에 집중하려는 김동연의 '진정성', 여론 지지 이끌어내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image
김동연 경기도지사가가 지난 3일 경기도의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제365회 정례회 제3차 본회의에서 2023년 예산안 시정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경기도]

 

[뉴스투데이=모도원 기자]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최근 각종 여론조사에서 약진하는 모습을 보여 눈길을 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김 지사는 취임 이래 여야간 정치공방에 관여한 적이 없다. 대신에 정책행보를 강조해왔다. 경기도 국감에서도 전 경기도지사였던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둘러싼 의혹에 대해 질문을 받고 "경기도 정책에 대해 질문하라"고 수 차례 맞섰다. 이처럼 경제전문가로서 '정책행보'를 강조하면서 '갈등의 정치'를 거부하는 태도가 민심의 지지를 이끌어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 김동연, 17개 광역지자체장 중 유일하게 당선 득표율보다 지지율 상승

 

우선 리얼미터가 실시한 지난 8월과 9월 전국 17개 시·도 광역단체장 지지확대지수 조사에서 두 달 연속 1위를 차지했다.  지지확대지수는 지방선거 당선 득표율 대비 현재 지지도의 증감을 나타내는 지수이다. 지지확대지수가 100을 넘기면 당선득표율보다 지지율이 늘어난 것이고, 100에 미달되면 지지율이 줄어든 것이다. 김 지사는 9월 112.6점, 8월 117.1점을 얻었다. 유일하게 두 달 연속 100점을 상회한 광역지자체장이다. 9월 전국 광역단체장 지지 확대지수의 평균은 84점에 불과하다. 

 

image

 

■ 야권 차기 주자 중 유일하게 김동연만 상승세 / 복수응답 가능한 호감도 조사에서 이재명과 김동연 격차는 1.4%에 불과 / 차기 주자 10인 중 '비호감도' 가장 낮아

 

김동연의 지지율 상승은 광역지자체장 조사에 그치는 게 아니다. 차기 대선주자 지지율 조사에서도 약진하고 있다. 유의미한 수준이다. 리서치뷰가 지난 10월 조사한 진영별 차기 대선주자 적합도를 보면 진보·보수를 아우르는 전체 응답자 대상 조사에서 이재명의 적합도는 39%로 지난 9월 조사결과 대비 4%p가 떨어졌다. 이낙연은 교착상태이다. 김동연만 2% 상승한 8%로 범진보 진영에서 유일하게 적합도가 상승했다.

 

진보층만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서는 이재명(64%)이 6%p 하락했으며 이낙연(14%)과 김동연(7%)이 각각 3%p와 5%p 상승했다. 

 

해당 조사결과에서 이재명과 김동연의 적합도 차이는 크지만, 등락 추세만 놓고 보면 진보층 지지자 중 이탈표가 나오면우 이낙연과 김동연이 흡수하는 구도이다. 

 

이는 피플네트웍스리서치가 실시한 10월 대선주자 선호도 조사에서 더욱 구체화된다. 이재명의 선호도는 41.3%이며 이낙연이 12.5%, 김동연은 8.8%다. 리서치뷰 조사보다 이낙연과 김동연 간의 격차가 줄어들었다. 범야권의 차기 대선주자에서 압도적 강자인 이재명과 이낙연·김동연 간의 '1강 2중 구도'가 나타난다. 

 

특히 주목할 여론조사는 지난 달 14~16일 케이스탯리서치가 주간조선 의뢰로 차기 대선주자 10인(여당 소속 6명, 야당 소속 4명)에 대한 호감도를 조사한 결과다. 해당 조사에서 이른바 윤석열 지지층의 차기 대선주자 호감도는 이재명이 8.3%로 가장 낮았으며 유승민이 27.5%, 김동연 28.6%, 이낙연이 35.0%를 기록했다. 

 

통상 윤석열 지지층과 전통적인 국민의힘 지지층이 일치한다는 점을 고려할 경우, 유승민과 김동연, 이낙연이 범보수 세력에게 상대적으로 높은 득표율을 보일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특히 전체 호감도 조사(중복응답 가능)에서 김동연은 39.8%로 4위를 차지했다. 1위인 홍준표(47.8%), 2위 오세훈(47.1%)과 10%p 차이를 보였다. 3위인 이재명(41.2%)과는 1.4% 포인트 격차에 불과하다. 오차범위 내이다. 

 

무엇보다 호감도가 아닌 비호감도 조사에서 김동연이 차기 주자 10인 중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안철수 60.8%, 이재명 56.4%, 이낙연 53.1% 등으로 상단을 차지했다. 김동연은 37.7%로 가장 낮은 비호감도를 보였다. 

 

자세한 여론조사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주간조선 조사에서 드러난 특징은 김동연이 '대안 정치인'으로 인식되고 있다는 점이다. 그 근거는 두 가지이다. 첫째, 한 명의 선호주자를 묻는 조사에서 이재명과 김동연의 지지율 격차는 30% 포인트 안팎이지만 복수응답이 가능한 조사에서는 그 격차가 1% 포인트 안팎으로 줄어들고 있다.  둘째, 김동연은 이재명, 이낙연등과 같은 경쟁자에 비해 비호감도가 18% 포인트 정도 낮다는 점이다.  이 같은 지지율 구도는 정치상황 변화에 따라 부동표가 늘어날 경우, 김동연이 그 부동표를 흡수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을 낳고 있다.    

 

■ 경기도 관계자 "탈정쟁과 민생정책 행보에 대한 진성성이 김 지사의 특징"

 

경기도의 한 관계자는 뉴스투데이와의 통화에서 김 지사의 지지율 상승 및 낮은 비호감도에 대해 “그간 김 지사의 정책들은 결국 민생으로 귀결됐는데 지금의 경제위기 상황에서 도민들의 니즈에 맞게 정책들이 펼쳐지는 것 등이 좋은 평가결과로 이어진 것 같다”고 말했다. “여당이냐 야당이냐와 같은 대립 구도에서 벗어나 작금의 경제위기 상황을 진단하고 민생에 효과적인 정책을 구축하는 것에만 집중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 관계자는 “취임이래 일관되게 민생정책에 집중하는 진정성이 김 지사만의 특징같다”면서 “ 이러한 진정성이 효과를 보이는 것 같다”고 강조했다. 그는 “다른 정치인은 당선 전과 이후의 공약이 달라질 때가 많은데 김 지사는 취임 이전부터 현재까지 일관된 것이 도민들의 평가로 이어진 영향이 있는 것 같다”고 주장했다. 

 

■ '탈권위 정치'에 열광한  2030네티즌,  2002년 '노풍' 만들어... '정치 양극화' 혐오하는 30% 부동층, '제2의 노풍' 만들 가능성 있어

 

현재 한국정치가 당면한 최대 문제점은 '정치의 양극화'이다. "친한 친구끼리도 정치 이야기는 꺼내지 않는 게 예의"라는 말이 상식이 될 정도 극단적 대립 상태이다.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은 상대방의 약점과 비리의혹 공격에 전력투구하고 있다. '민생정치'는 실종되고,  상대방을 죽이기 위한 비타협적 정쟁만이 존재한다. 내년 글로벌 경제 위기로 인해 한국경제성장률은 1%대에 머물 것이라는 암울한 전망이 흘러나오고 있지만, 정치권은 변화할 기미조차 보이지 않는다.  

 

김동연 지사는 중앙정치 경험이 없지만 이 같은 '갈등의 정치'를 거부하는 행보를 보이고 있다. 국민의힘 지지층은 30%,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은 40% 정도로 추정된다. 30% 정도는 중도층이라고 볼 수 있다. 중도층을 중심으로 정치 양극화를 해소하려는 민심은 높아질 전망이다. 그럴 경우 '갈등의 정치'를 거부해온 김동연 지사가 '대안 정치인' 중의 한 명으로 부상할 가능성이 높다.  

 

지난 2002년 대선 당시 여당인 새천년민주당의 대선주자 7명 중 가장 낮은 지지율을 보였던 노무현은 2030네티즌을 중심으로 '노풍'을 불러일으켜 대통령에 당선됐다. 그 원동력은 '탈권위 정치'였다. 네티즌들은 노무현의 탈권위에 열광했다. 즉 '노풍'은 시대정신의 산물이었다.

 

마찬가지로 '정치 양극화' 해결에 대한 국민적 요구는 시대정신이다. 어떤 정치인이 '정치 양극화'와의 대결에서 승리, 유의미한 '정책 성과'를 거둔다면 '제2의 노풍'과 같은 현상을 만들어낼 것으로 전망된다.  

 

 

BEST 뉴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
 

주요기업 채용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