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지사, 尹정부 탄소중립 정책 '후퇴' 비판..."국제기준 맞춰 기업들이 경쟁력 갖추도록 도와야"

모도원 기자 입력 : 2023.03.21 18:05 ㅣ 수정 : 2023.03.21 18:05

김동연, "신재생에너지 발전 목표 30.2%를 21.6%로 하향 조정하면서 원자력발전을 지나치게 강조"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image
지난해 12월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경기도 1회용 프라스틱 제로 선포식'에서 사용한 컵을 다회용 컵 수거함에 반납하고 있다. [사진=경기도]

 

[뉴스투데이=모도원 기자]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윤석열 정부의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을 두고 "세계적 흐름에 역행하는 내용"이라며 비판했다. 글로벌 시장에서 탄소국경조정세와 RE100과 같은 국제기준이 도입되는 가운데, 윤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발전 목표 감축은 기업 활동에 도움되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21일 김 지사는 페이스북에 '우리에겐 더 이상 낭비할 시간이 없습니다'라는 제목의 글을 올렸다. 

 

김 지사는 "오늘 공개된 윤석열 정부의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은 몹시 실망스럽고 깊이 우려된다. 세계적 흐름에 역행하는 내용이다"라며 "신재생에너지 발전 목표 30.2%를 21.6%(+α)로 하향 조정하면서 원자력발전을 지나치게 강조한 반면, 정작 중요한 신재생에너지를 뒷전으로 돌렸다"라고 지적했다.

 

앞서 정부는 이날 '2050 탄소중립'과 '2030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현 20%대인 원전발전 비중을 30%대로 높인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는 전 정부 목표치인 30%보다 낮은 20%대로 설정하며, 에너지요금 현실화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김동연 지사는 "원자력발전의 확대 정책만으론 세계 각국의 신재생에너지 확보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없다. 고위험 핵폐기물을 발생을 고려하면 ‘지속가능한’ 정책인지도 의문이다"라며 "충분한 신재생에너지 공급이 확보되지 못한다면 ‘국가 첨단산업 육성전략’도 그럴싸한 청사진에 그치고 말 것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정부는 산업 부문 온실가스 감축량을 낮췄다. 기업에 도움이 되지 않는 방향이다. 탄소국경조정세 도입, RE100 같은 국제기준에 맞춰 기업들이 수출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라며 "신재생에너지에서 국제사회의 분위기에 끌려가는 추종자가 아니라 선도자가 되어야 한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경기도는 2030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30% 약속을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 제 임기 내 공공기관 RE100을 달성하겠다"라며 "새로 조성되는 산업단지는 재생에너지 사용을 의무화하고, 기존 산업단지는 재생에너지의 공급 비율을 높여나가겠다. 경기도가 추진할 개발사업에서도 RE100 달성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점차 의무화해 나갈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BEST 뉴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
 

주요기업 채용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