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K-MOSA’ 정책 적용 통해 국방무인체계 신속·저렴하게 확보
상호호환규격과 공통 소프트웨어 적용돼 체계 간 상호운용성 증가하고 성능개량도 쉬워질 듯

[뉴스투데이=김한경 기자] 국방부는 28일 ‘23-2차 국방과학기술조정협의회’에서 AI 기반 유무인복합전투체계의 조속한 구축을 위해 내년부터 ‘국방무인체계 계열화·모듈화(K-MOSA)’ 정책 적용을 본격 추진하기로 했다.
K-MOSA(Korea-tailored Modular Open System Approach)에서 계열화는 임무 목적에 따라 대형·중형·소형 등 대표 플랫폼을 지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무인체계를 개발하는 것이며, 모듈화는 계열화된 플랫폼에 수행 임무에 따라 임무 장비를 선택해 탑재하는 것을 말한다.
‘K-MOSA’ 정책이 적용되면 방산업체는 표준화된 무인 기체·장비를 신속하고 저렴하게 대량생산할 수 있게 되고, 야전 운용부대들은 모듈화된 장비를 쉽게 교환함으로써 전력조합의 유연성과 원활한 유지보수가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상호호환규격과 공통 소프트웨어가 적용돼 유무인복합전투체계 간 상호운용성이 증가하고, 차후 성능개량도 쉬워질 것으로 보인다.
국방부는 ‘K-MOSA' 정책의 신속한 추진을 위해 첨단전력기획관실 예하에 ‘K-MOSA TF’를 편성, 유관기관과 협업 하에 ▲관련 정책 및 제도 정비, ▲기술개발 및 표준화 방안 마련, ▲시험평가 및 인증체계 구축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아울러 이번 협의회에서는 ’유무인복합전투체계 구축 워킹그룹‘(이하 워킹그룹)의 한해 성과를 발표하는 시간을 가졌다.
워킹그룹은 국방부가 주도하고 타 정부 부처, 합참, 각 군, 방사청, 연구소 예하 총 113개 부서가 참여하는 14개의 실무협의체이며, 이번 협의회에서는 워킹그룹 별 2023년 주요 성과와 2024년 계획을 발표하고, 세부과제별 업무추진 방향에 대한 의견을 수렴했다.
국방부는 앞으로도 K-MOSA 정책 유무인복합전투체계 조기 구축을 위해 전문가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관련 부서와 원활한 소통과 협업을 강화할 예정이다.
김선호 국방차관은 “유무인복합전투체계의 조기 구축을 위해 노력한 ‘유무인복합전투체계 구축 워킹그룹’의 성과를 높이 평가하며, ’K-MOSA‘ 정책 추진을 가속화하기 위해 모든 관계기관이 적극적인 역할을 해줄 것”을 당부했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