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투데이

검색
https://m.news2day.co.kr/article/20240510500196

보험업계, 비급여 증가에 지난해 실손보험 2조원 적자

글자확대 글자축소
김태규 기자
입력 : 2024.05.10 14:17 ㅣ 수정 : 2024.05.10 14:17

금감원, 2023년 실손보험 사업실적 발표

image
[사진=뉴스투데이DB]

 

[뉴스투데이=김태규 기자] 보험업계가 지난해 실손보험에서 2조원에 육박하는 적자를 기록했다. 비급여 지금 보험금이 증가세로 전환한 영향이다.

 

10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3년 실손의료보험 사업실적(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실손보험 보험손익은 1조9738억원 적자로 전년 1조5301억원 적자 대비 적자 규모가 4437억원 확대됐다. 실손보험 손실은 2021년 2조8581억원에서 2022년 1조원대로 감소했으나 지난해 다시 2조원대로 늘어난 것이다.

 

지난해 실손보험 경과손해율은 103.4%로 전년 101.3% 대비 2.1%포인트(p) 증가했다. 생명보험업권의 경우 86.4%로 전년 84.7%에 비해 1.7%p 상승했으며 손보업권은 107.1%로 전년 104.8% 대비 2.3%p 악화됐다.

 

실손보험 세대별로는 3세대가 137.2%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4세대 113.8%, 1세대 110.5%, 2세대 92.7% 순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손해율이 증가한데 더해 2022년 백내장 대법원 판결 영향으로 감소했던 비급여지급보험금도 증가했다. 비급여 보험금은 8조원으로 전년 7조9000억원 대비 2.0% 늘어났다.

 

비급여 보험금이 가장 많은 항목은 비급여 주사료로 28.9%를 차지했다. 이어 근골격계질횐 치료 28.6%, 질병치료 목적의 교정치료 3.1% 순으로 나타났다.

 

보험료 수익은 14조4000억원으로 전년 13조2000억원에 비해 9.5% 늘었으며 지난해 말 기준 보유계약은 3579만건으로 전년 3565만건 대비 0.4% 증가했다.

 

금감원은 "무릎줄기세포주사 등 신규 비급여 항목이 계속 출현하는 등 전체 실손보험금 중 비급여가 여전히 높은 비중 차지하고 있다"면서 "실손보험이 국민의 사적 안전망 역할을 지속할 수 있도록 보험금 누수 방지 및 다수의 선량한 계약자 보호를 위한 제도개선 등을 계속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7월부터 개시되는 4세대 비급여 보험료 차등제 및 군 장병 실손의료보험 중지제도의 안정적 정착을 지원하고 정당한 보험금 청구에 대해서는 신속하게 지급되도록 감독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rasta@news2day.co.kr
이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뉴스투데이 & m.news2day.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

금융·증권 많이 본 기사

  1. 1 [이 특징주 버핏이라면] HMM, 1분기 호실적·이재명 후보 '부산 이전' 공약에 7%대 상승
  1. 2 [이 특징주 버핏이라면] JYP엔터테인먼트, 2분기 최대 실적 기대에 6%대 상승
  1. 3 [이 특징주 버핏이라면] 코스맥스, 실적 모멘텀 7%대 급등…K-뷰티 수출효과 '톡톡'
  1. 4 삼양식품·한화시스템 사들인 外人…MSCI 편입 기대주 ‘들썩’
  1. 5 MG손해보험 '가교보험사' 설립 가능성 커져…계약이전·매각 선택지 남아
네이버 블로그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유튜브 이메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