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기준금리 인하 변수는 고환율·추경”<iM證>

유한일 기자 입력 : 2025.04.09 09:04 ㅣ 수정 : 2025.04.09 09:04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image
[사진=iM증권] 

 

[뉴스투데이=유한일 기자] iM증권은 오는 17일 4월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한국은행이 고환율 부담과 재정정책과의 엇박자 등으로 인하 여부를 고민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번 기준금리 인하 또는 동결 여부에 따라 연말 최종금리, 채권금리 향방도 결정될 것이란 관측이다. 

 

김명실 iM증권 연구원은 9일 보고서에서 “한국은행의 4월 기준금리 인하를 100% 확신하기에는 여러 방해 요인도 존재한다”며 이 같이 분석했다.

 

먼저 iM증권은 한국은행이 지난해 10월과 11월 연속으로 기준금리를 인하한 뒤 올해 1월 동결하고 2월 다시 내린 데 대해 통화정책의 결정적 변수는 환율 안정이었다고 분석했다. 최근 대내외 불확실성으로 원·달러 환율이 치솟고 있는 만큼 이번에도 이 같은 변수가 작용할 것이란 평가다. 

 

김 연구원은 “현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와 국내 대통령 탄핵 인용 발표 등 주요 이벤트 해소 이후 원·달러 환율이 1470원대 부근까지 다시 올라온 상황”이라며 “다만 작년 연말과 비교해 관세정책의 혼란 등으로 ‘킹달러’의 위상이 예전 같지 않다는 차별점이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달러화의 위상 자체가 이전대비 낮아지고 있다는 점은 원/달러 환율의 상방을 제어할 수 있는 요인”이라며 “이 점을 고려할 때 고환율에 대한 민감도는 이전 대비 낮아질 수 있다는 판단이며 경기 방어의 시급성을 고려한다면 4월 조기인하도 가능함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또 정부가 예고한 10조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추경)도 변수로 지목된다. 여기에 오는 6월 조기대선 과정에서 추경 집행시기를 두고 여야간 이견이 분출될 수 있는 점도 부담이다. iM증권은 새 정부 출범 후 2~3차 추경이 이뤄질 경우 4월 또는 5월 금리인하가 ‘재정정책과의 공조’로 연결짓기 어려울 것으로 봤다. 

 

김 연구원은 “완벽한 공조가 힘들다면 과거처럼 (2월 이후) 3개월의 텀을 두고 (5월 금리인하를 재개하는 방안도 있다”면서도 “내수, 수출 경기 부진의 이중고를 겪고 있는 국내 경제 상황을 고려하면 차선의 선택인 선제적 4월 금리인하도 배제할 수 없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만약 4월 금리인하가 결정될 경우 올해 최종 정책금리 기대치를 기존 2.25%에서 2.00%까지 낮아질 수 있다”며 “이 경우 국고3년 단기물 역시 추가 하락 룸이 열릴 전망이다. 밴드 하단은 2.20%대까지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반면 급부상한 조기인하 기대와 달리 금리동결이 결정될 경우 최종 정책금리 기대치는 기존 2.25%로 유지될 것”이라며 “금리 동결에도 불구하고 금리 상승요인 부재로 국고 금리는 크게 밀리지 않을 수 있으나, 단기금리의 하단은 2.40%대에서 제한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덧붙였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
 

주요기업 채용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