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실초등학교 앞 지중화 공사, 아이들 안전은 부재 중...“트집 아니다, 현실이다”

구윤철 기자 입력 : 2025.04.17 10:45 ㅣ 수정 : 2025.04.17 17:38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image
한국전력공사 전북본부가 발주한 지중화 공사가 임실초등학교 정문 앞 어린이보호구역에서 진행 되고 있다. 사진 우측 아이들 통학로 및 인도는 공사 현장에서 쏟아져 나온 폐 골재와 공사 자재가 인도를 점령하고 있다. [사진=구윤철 기자]

 

[전북/뉴스투데이=구윤철 기자] 한국전력공사 전북본부가 발주한 지중화 공사가 임실초등학교 정문 앞 도로에서 진행 중인 가운데, 아침 등교 시간대 학생들의 보행 안전이 사실상 무방비 상태로 방치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17일 현장 소장은 “신호수도 배치되어 있고, 저도 현장에서 아이들 등교 시간에 서 있었다”며 문제 제기를 “트집 잡기”로 반박했지만, 정작 현장은 안전조치의 기본인 보행자 동선 유도, 안내 표지, 통제 펜스 등이 눈에 띄지 않는다.

 

폐자재와 흙더미에 점령당한 통학로

 

17일 임실초등학교 정문 앞 인도는 공사로 인한 폐 골재와 건설 자재가 무더기로 적재돼 있으며, 인도의 절반 이상이 점령된 상태이기에  임실초등학교 어린학생들의 주 통학시간대에 이 구간은 한쪽 인도 사용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임실초등학교 정문 앞 도로는 어린이보호구역으로 지정된 구간이고 해당 구간에서 이뤄지는 도로 공사는 도로교통법과 산업안전보건법, 어린이통학로 보호지침 등 다양한 안전 규정의 적용을 받는다. 

 

특히 초등학생이 주요 통행자라는 특수성을 고려할 때, 임시 보행로 확보 및 공사 시간 조정은 필수 사항에 해당한다.

 

공사 현장 측 인부들이 도로 한편에 위치하고 있긴 하지만, 현장을 둘러싼 안전 펜스나 차단바, 임시 보행로 안내 표지판 등은 전혀 보이지 않는다. 

 

이는 도로교통법 제36조(공사 시 안전조치), 산업안전보건법 제34조(작업장 안전조치) 위반 소지가 있다.

 

현장 소장 “트집 잡지 마라”…그럼에도 남는 질문들

 

현장 소장은 본보와의 취재에서 “신호수도 있고, 저도 등교 시간에 서 있었다”며 안전에 이상이 없다는 입장을 보였다. 실제 보행 유도 행위는 현장 소장이 아닌 임실초등학교 학부모 한 명이 등교 시간에 아이들의 안전을 유도하고 있다. 

 

보행자 동선 확보가 되지 않은 상황에서 차량, 장비, 트럭, 자재가 혼재된 도로 위를 아이들이 통과해야 하는 구조 자체가 ‘안전’이라고 보기 어렵다.

 

한전 전북본부의 공사, 공공성보다 속도가 앞섰나

 

지중화 공사는 장기적으로 전선 안전, 도시 미관, 사고 예방 등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공공시설 앞, 특히 초등학교 정문에서 이뤄지는 공사는 ‘공정 속도’보다 ‘보행 안전’이 우선돼야 마땅하다.

 

공사 책임기관인 한전 전북본부는 시공사와 협력해 최소한의 안전조치 기준(펜스 설치, 통학시간 공사 일시 중단, 보행로 유도요원 확충)을 즉각 시행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임실군청과 임실교육지원청 또한 현장 실사와 조치 권고를 통해 통학로 안전이 확보된 상태에서 공사가 재개될 수 있도록 제도적 개입이 필요하다.

 

“트집이 아니다. 이것은 아이들의 통학로다”

 

공사는 언제든지 재개될 수 있다. 그러나 잃어버린 안전은 복구할 수 없다. 아이들이 매일 걷는 길은, 단순한 도로가 아니라 ‘삶의 공간’이며 ‘공공의 책임’이 우선되는 영역이다.

 

지금 필요한 것은 "문제 없다"는 입장이 아니라, “더 안전하게 하겠다”는 책임 있는 변화다. 

 

본지는 한국전력공사 전북본부가 발주한 지중화공사가 임실초등학교 앞 어린이보호구역에서 어린 아이들의 보행 안전을 어떻게 지켜줄지 지켜볼 예정이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
 

주요기업 채용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