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실치즈벨리영농조합법인, "허위 주장 강력 대응"..."치즈판매장 싹 바꿀 군수 나와야" 발언 논란

구윤철 기자 입력 : 2025.05.01 23:18 ㅣ 수정 : 2025.05.02 06:40

주민자치, 정치 중립성 시험대에 서다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image
임실읍 주민자치위원의 발언을 둘러싼 논란은 정치적 중립성과 공공 발언의 책임 문제로 확산되며 지역사회의 신뢰와 주민자치의 본질을 되묻게 하고 있다.  [사진=네이버 지도 캡쳐]

 

[전북/뉴스투데이=구윤철 기자] 임실읍 주민자치위원회 소속 위원의 발언을 둘러싸고 지역사회에서 논란이 일고 있다. 

 

지난 3월, 임실읍 주민자치위원회 위원이 임실읍사무소 인근 커피숍에서 임실치즈테마파크 내 판매장을 특정해 “이곳을 싹 바꿀 수 있는 사람이 내년에 군수가 돼야 한다”는 발언을 했다는 제보가 이어지면서 주민자치위원의 정치적 중립성과 공적 자격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뉴스투데이 전북취재본부가 확보한 복수의 증언에 따르면, 이 발언은 주민자치위원회 공식 회의가 아닌 사적 모임에서 나온 것으로 추정되나 임실읍 주민자치위원장이 해당 자리에 동석했던 사실이 확인되며 임실읍 주민자치위원회의 대응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30일 본지와의 통화에서 임실읍 주민자치위원장 A씨는 “공식 회의 중 그런 발언은 없었으며, 사석에서 누군가가 개인적으로 말을 했을 가능성은 있다”면서도 “만약 그런 말이 사실이라면 위원회 차원에서 부적절한 발언임을 분명히 짚고 넘어가겠다”고 밝혔다.

 

문제의 발언은 단순한 정치적 희망 표현을 넘어, 임실치즈테마파크 내 조합법인의 운영 주체를 특정하며 “바꿔야 할 대상”으로 지목했다는 점에서 사안이 중대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실제 해당 발언은 “임실치즈벨리영농조합법인을 특정 인물이 실질적으로 지배하고 있다”는 취지로 연결되며, 조합 내부뿐 아니라 지역 낙농 관계자들 사이에서도 논란의 중심에 서게 됐다.

 

이에 대해 임실치즈벨리영농조합법인 관계자는 “조합이 특정 개인의 소유라는 주장은 명백한 허위이며, 명예를 심각하게 훼손하는 행위”라고 반발했다. 

 

조합은 “해당 발언을 한 인물이 주민자치위원이라는 점에서 더욱 우려스럽다”며, “임실군민의 목소리를 모아 행정에 전달하는 역할도 하기에 공적 위상에 걸맞은 책임 있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조합에 따르면 임실치즈벨리영농조합법인은 2012년 성수면 도인리 주민들이 주축이 되어 설립한 순수 협동조합 법인이다. 

 

조합 관계자는 “테마파크 조성 과정에서 테마파크가 조성된 곳에서 거주하던 주민들의 기존 목장과 농지가 편입되면서 삶의 터전을 잃어 주민들이 자구책으로 만들어낸 협력 모델”이라며, “이사회와 총회를 통한 의사결정, 회계 투명성, 주민 중심의 운영 체계는 정관에 명시되어 있으며 법적으로도 검증 가능한 구조”라고 설명했다.

 

또한, 조합 관계자는 “지역공동체가 오랜 시간 쌓아온 신뢰 기반을 훼손하는 근거 없는 주장을 더 이상 묵과할 수 없다”며 “해당 발언자가 확인될 경우 공식적인 사과와 정정을 요구할 계획이며, 이번 사안에 대해 법적 조치를 취할지는 논의를 해 봐야겠지만 앞으로도 유사한 왜곡이 반복될 경우 법적 대응을 포함한 모든 조치를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논란은 단순한 개인 발언의 경계를 넘어 주민자치기구의 정치적 중립성과 공공 발언의 책임 문제로 번지고 있다. 

 

주민자치위원은 법적 대표권은 없지만, 지역 대표성과 상징성을 부여받은 자리라는 점에서 사석에서의 발언이라 하더라도 발언의 무게는 가볍지 않다.

 

임실읍 주민자치위원장 A씨는 “해당 발언이 사실이라면 다음 회의에서 분명히 주지시킬 것”이라며, “위원으로서 개인 발언에도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점을 위원회 전체가 명확히 인식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임실치즈벨리영농조합법인은 설립 이후 치즈 가공, 체험 관광, 유통 연계를 통해 지역 6차 산업화의 모범 사례로 평가받고 있으며, 주민 중심의 자립형 경제 모델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왔다. 

 

지역의 연대와 신뢰를 기반으로 성장해온 구조인 만큼, 이번 사안은 조합 운영의 공공성과 지역사회 자치의 책임을 다시금 되돌아보게 하는 계기로 작용하고 있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
 

주요기업 채용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