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승원 기자 입력 : 2025.02.14 01:15 ㅣ 수정 : 2025.02.14 01:15
1월 미국 CPI(소비자물가지수)에 이어 PPI(생산자물가지수)마저 시장전망치를 웃도는 것으로 나타나자 트럼프 관세정책에 따른 인플레이션 우려 커져,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금리인하 기대감은 크게 낮아져
미국의 1월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시장예상치를 웃돈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뉴스투데이=정승원 기자] 취임과 동시에 전세계를 겨냥한 관세전쟁을 선포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정책이 미국 물가를 자극할 것이란 우려가 현실화하고 있다.
미국 노동부는 13일(현지시간) 1월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전월 대비 0.4%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이같은 상승률은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0.3%)를 웃도는 것이다. 전년 동기 대비 상승률은 3.5%였다.
에너지와 식품 등을 제외한 근원 생산자물가지수 상승률은 전월 대비 0.3%로 역시 전망치(0.2%)를 웃돌았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3.4% 상승했다. 근원 생산자물가지수 역시 시장의 예상치를 웃돌면서 시장에서는 물가 상승 압력이 지속될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앞서 발표된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역시 전월대비 0.5% 상승하여 예상치인 0.3%를 상회했다. 변동성이 큰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CPI는 전월 대비 0.4% 상승하여 예상치인 0.3%를 웃돌았고, 전년 동기 대비로는 3.3% 상승했다.
처방약 가격의 기록적인 상승과 자동차 보험료 인상 등이 CPI 상승의 주된 원인으로 지목됐다.
이러한 물가 상승은 연방준비제도(연준)이 목표로 하는 2% 인플레이션 수준을 웃도는 것으로, 향후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를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최근 발언에서 "인플레이션 완화가 상당한 진전을 보였지만 목표치에 도달하지 못했다"고 언급하며, 금리 정책에 신중한 접근을 지속할 것임을 시사했다.
문제는 트럼프 대통령의 무차별적 관세전쟁이 미국 인플레이션을 더욱 자극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1기 행정부 때인 2018년부터 중국을 비롯한 여러 국가에 고율의 관세를 부과하며 무역전쟁을 벌였다.
당시 철강 및 알루미늄 관세(25% 및 10%)를 비롯해 중국산 제품 3500억 달러어치에 대해 추가관세를 부과하면서 글로벌 공급망을 교란시켰고, 이는 기업들의 비용 증가로 이어진 바 있다.
JP모건의 수석 경제학자 마이클 페롤리는 당시 상황과 관련하여, "트럼프 1기 행정부의 관세 정책은 미국 내 기업과 소비자에게 부담으로 작용했다“면서 ”기업들이 증가한 비용을 소비자 가격에 전가하면서 물가 상승이 불가피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2019년 무역전쟁 당시 미국의 CPI 상승률은 2%대를 유지하며 관세의 영향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기존의 대중국 고율 관세를 현상유지하거나 확대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또한 멕시코, 유럽, 한국 등과의 무역 관계도 재조정될 수 있어 새로운 수입품 관세가 부과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골드만삭스의 글로벌 시장 전략가 얀 하치우스는 "트럼프의 관세정책이 부활하면 미국 내 수입 물가가 상승하고, 이는 최종 소비재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특히 자동차, 전자제품, 가전 등의 품목에서 인플레이션 압력이 뚜렷하게 나타날 것"이라고 분석했다.
현재 연준은 인플레이션 추이를 주시하며 금리 정책의 변화여부를 신중히 저울질하고 있다. 미국 대선 전에는 연준이 올해 추가 금리인하에 나설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점쳤지만, 지금은 추가인하에 대한 기대감은 물건너 간 상태다.
더욱이 최근 발표된 CPI와 PPI 지표가 예상보다 높은 상승률을 보이자 시장에서는 연준이 금리 인하를 서두르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해졌다.
모건스탠리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엘렌 젠트너는 "관세가 추가로 부과될 경우, 이는 연준이 인플레이션 목표치를 달성하는 데 있어 더 큰 도전 과제가 될 것"이라며 "만약 물가 상승 압력이 심화된다면, 연준은 금리 인하를 더욱 지연할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