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투데이 E] 한국농어촌공사, 농촌용수 수질관리 그린뉴딜에 425억원 투입

최천욱 기자 입력 : 2020.07.23 18:12 ㅣ 수정 : 2020.07.23 18:12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뉴스투데이 E]의 E는 Economy(경제·생활경제)를 뜻합니다. <편집자주>
 

기존 시료채취를 통한 수질측정모습 [사진제공=한국농어촌공사]
 

[뉴스투데이=최천욱 기자] 한국농어촌공사는 오는 2022년까지 ICT기술을 활용한 실시간 수질측정이 가능한 농촌용수 수질자동측정망 구축사업에 총 425억원을 투입한다.

 
23일 한국농어촌공사에 따르면 이 사업은 현장에서 직접 시료를 채취, 실험실로 이송해 분석하는 기존 수질조사방식을, 현장에 자동측정장치를 설치해 측정된 내용을 디지털화하는 방식으로 개선해 깨끗하고 안전한 농업용수 관리를 위한 그린인프라를 구축한다.

 

농식품부는 한국판 그린 뉴딜사업으로 이번 사업을 발굴해 지원하게 됐으며, 수질자동측정장치와 수질정보시스템이 완료되면 저수지 수질의 실시간 관측 뿐 아니라, 다양한 데이터 수집과 활용이 가능해져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분석을 통한 수질변화 예측과 사전 예방적 수질관리가 가능하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공사는 농업용수 수질관리를 위해 1990년부터 수질측정망을 운영하며 저수지 975개소에 대한 분기별 측정과 그 결과를 활용한 수질개선사업을 계속해 오고 있다.
 
그러나 최근 경제활동과 오염원 유입이 증가되면서 수질오염사고는 2015년 11건에서 2019년에는 43건으로 해마다 늘어나고 있는데다, 수질오염사고 중 유류 오염과 축분·오폐수 유입이 46%를 차지하고 있어, 오염사고시 오염원 확인과 이에 따른 신속한 대응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공사는 수질오염감시를 위해 우선 올해 저수지 30개소에 자동측정 장치를 설치하고, 오는 2022년까지 총 90개소 360개 지점을 설치한다는 방침이다.
 
설치대상은 국가 관리 주요 저수지 중 수질오염사고 발생 시 피해 심각성과 규모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선정됐으며, 규모가 큰 저수지부터 우선적으로 설치할 예정이다.
 
또한, 수질관련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활용한 분석을 통해 환경사고를 사전에 예측하고, 선제적으로 수질을 관리할 수 있는 수질관리플랫폼을 구축해 2023년부터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김인식 사장은 “농촌용수 수질자동측정망사업을 시작으로 디지털 기술을 수질관리에 적극 활용함으로써 수질오염사고를 예방하고, 깨끗한 물을 공급해 안전한 친환경농산물을 생산할 수 있는 그린인프라 구축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BEST 뉴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
 

주요기업 채용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