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래프톤, 기출시 라인업 선방과 신규 IP 출시로 모멘텀 확보”

장원수 기자 입력 : 2022.06.20 16:24 ㅣ 수정 : 2022.06.20 16:24

완화된 기존 리스크와 4분기 예정된 글로벌 외형성장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뉴스투데이=장원수 기자] 상상인증권은 20일 크래프톤에 대해 하반기 강력한 모멤텀이 돋보이는 몇 안 되는 게임개발사라고 전했다.

 

이종원 상상인증권 연구원은 “크래프톤은 배틀그라운드라는 강력한 IP(지적재산권)를 보유한 국내 탑티어 게임 개발사”라며 “회사매출은 95%이상이 배틀그라운드 IP에서 발생하며 그 중 모바일 점유율은 전사매출의 75%에 육박하고 있다”고 말했다.

 

image

이종원 연구원은 “배틀그라운드는 글로벌 IP로 꾸준한 실적이 담보되며 연작 IP로서의 가치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기존 라인업으로 1분기에 무료화된 배틀그라운드 PC 버젼과 콘솔향 배틀그라운드가 실적을 이끌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이 연구원은 “올해 4분기 경 출시가 전망되는 신작 라인업으로 ‘더 칼리스토 프로토콜’ 과 ‘프로젝트 M’이 있다”라며 “칼리스토 프로토콜은 글렌스코필드 사단이 참여하며 ‘데드스페이스’의 스타일을 잇는 신작”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데드스페이스의 경우 전작인 1, 2시리즈가 각각 200만장, 400만장 이상 판매되며 흥행한 게임”이라며 “뉴스테이트의 성과가 아직 크게 기여하고 있지 않으나, 분기실적이 상향될 것으로 예상되며, 4분기 신작 게임 효과 개입 시 리레이팅 요건이 갖춰질 것으로 판단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크래프톤의 1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대비 13.5% 늘어난 5230억원으로 글로벌 라이브 서비스 노하우를 바탕으로, PUBG IP의 견조한 성장이 지속되며 역대 최고 분기매출을 경신한 바 있다”라며 “지난해 4분기 이후 크래프톤 주가가 급락함에 따라 주식보상비용이 환입되며 영업이익률도 크게 개선시켰다”고 말했다.

 

그는 “뉴스테이트 분기 일평균 매출액은 약 3억원 내외로 추정되고 있다. 기존 IP의 글로벌 흥행세를 기반으로 뉴스테이트 성과의 상향여부가 단기실적을 좌우할 키라고 판단된다”며 “현재 밸류에이션은 2021년 뉴스테이트 하향세로 많이 내려온 상황으로 중단기 모멘텀은 4분기 출시예정인 칼리스토 포로토콜의 흥행이라 판단된다”고 언급했다.

 

그는 “상반기는 중국 게임시장의 활력강화 및 ‘PUBG 모바일’의 매출상향이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며 “다가오는 3분기는 막연한 실적기대감 보다 4분기를 기점으로 출시될 신작 모멘텀이 밸류에이션 리레이팅을 도모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진단했다.

 

그는 “4분기 타임라인이 정상적 가동된다는 전제하에 3분기를 투자타점으로 잡는 것이 유효하다”며 “신작 모멘텀에 근거한 가속력이 높아지기 전까지 단기 모멘텀을 확인해가며 분산투자 관점으로 접근할 것을 권고한다”고 분석했다.

 

그는 “배틀그라운드 모바일(중국 텐센트와 공동개발)은 서비스가 시작된지 약 5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견고한 일별활성이용자수(DAU)와 매출을 나타내고 있다”며 “2021년 기준 DAU 5000만 이상으로 파악되고, 인도향 퍼블리싱 재개로 DAU가 더 상승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짚었다.

 

그는 “크래프톤의 지난 1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대비 13.5% 늘어난 5230억원, 영업이익은 37.3% 증가한 3119억원으로 매출성장과 비용 정상화로 전년동기 및 전분기 대비 영업이익의 고성장세를 시현한 바 있다”며 “분기 최대매출을 경신했고 주식 보상비용의 환입 및 지급 수수료감소 등 비용절감을 통해 영업이익은 시장 컨센서스(약 1900억원)를 크게 넘어섰다”고 전망했다.

 

그는 “조정 EBITDA는 2781억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10%이상 상승했으며 EBITDA 마진은 53.2%를 시현했다”며 “배틀그라운드 PC 실적은 1분기 무료화 시행 이후 트래픽이 급증하며, 전년대비 60% 이상 성장하는 모습을 나타냈다”고 평가했다.

 

그는 “배틀그라운드 PC 버젼은 무료화로 MAU가 3배 증가했고, 배틀로얄 장르에서 여전히 글로벌 탑티어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며 “중국의 화평정영 및 인도 BGMI의 매출성장도 유지되고 있다. 향후 매출의 자연감소는 있을 수 있으나 시리즈의 장수기조에는 무리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내다봤다.

 

그는 “크래프톤은 스트라이킹 디스턴스 스튜디오를 미국에 설립하며 적극적으로 글로벌 웨스턴 게임 시장에 대응하고 있다”며 “프로젝트 M은 Sci-Fi 세계관을 배경으로 한 턴제 전략 게임(PC, Mobile 향)으로 올해 하반기 Early Access 목표로 개발 중”이라고 말했다.

 

그는 “칼리스토 프로토콜은 국내 최초 AAA 수준의 게임으로 데드스페이스, 콜오브듀티 제작팀을 크래프톤이 인수 제작했으며 올해 12월 출시 예정”이라며 “크래프톤은 지난해 4분기 실적부진이 주가 하락의 단초를 제공한 바 있다. 올해 1분기 시장 예상을 넘어서는 호실적을 통해 실적 다운사이징에 의한 밸류에이션 우려가 어느 정도 해소됐다”고 말했다.

 

그는 “올해 4분기 출시예정인 칼리스토 프로토콜과 프로젝트M 런칭을 통해 하반기 신작모멘텀도 발동될 것으로 판단된다”며 “현시점에서 투자포인트는 배틀그라운드라는 글로벌 IP를 보유, 시리즈의 안정적인 장수매출 가능, 언노운월즈, 칼리스토 제작팀 인수 등을 통해 국내에서 가장 확실한 AAA급 개발역량 보유, 경쟁개발사가 P2E 및 NFT 생태계 조성에 집중이 큰 것에 비해 본연 게임개발 자체에 집중, 시장 불확실성에 대한 리스크 헷지요인으로 작용 등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BEST 뉴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
 

주요기업 채용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