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10대책에도 ‘노도강’이 여전히 오르는 이유?
최천욱 기자
입력 : 2020.07.27 16:01
ㅣ 수정 : 2020.07.27 16:01
청약 당첨 어렵고 전세 구하기 어려운 3040세대 관심↑/ 정부, 이번 주 중으로 주택 공급대책 확대방안 발표 예정
[뉴스투데이=최천욱 기자] 7·10대책 이후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의 상승세가 둔화되고 있지만 중저가 단지들이 모여 있는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 지역의 상승세는 여전하다. 청약 당첨은 물론 전세조차 구하기 어려운 3040세대가 내 집 마련을 위해 그나마 서울에서 집값이 낮은 이들 지역에 눈을 돌린 영향으로 풀이된다.
이런 가운데 정부가 이번 주 중으로 주택 공급대책 확대방안을 발표할 예정이라, 시장의 수요를 얼마나 충족시키면서 집값 안정화에 기여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27일 부동산114 등 관련 업계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지난 24일 기준)은 전주대비 0.02%포인트(p) 줄어든 0.10%를 기록했다. 재건축(0.07%→0.06%)과 일반 아파트(0.13%→0.11%)상승폭은 줄었지만 오름세는 계속되면서 매도자 우위의 시장이 형성되고 있다.
단기간에 오른 집값과 정부의 규제로 수요자가 집을 사려는 모습이 다소 주춤해지고 집주인이 매물을 거둬들여 매물 잠김 현상이 심화되면서 고점(실거래가 또는 호가) 경신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일반 아파트는 9억원 이하 중저가 아파트가 밀집한 비강남권 지역들이 상승을 이끌고 있다. 도봉(0.25%)은 도봉동 동아에코빌, 창동 상계주공18단지, 쌍문동 한양5차 등이 500만~1000만원 상승했다. 성북(0.24%)은 종암동 래미안라센트, 길음동 길음뉴타운9단지, 돈암동 동부센트레빌 등이 750만~1000만원 올랐다. 노원(0.23%)은 중계동 경남아너스빌이 1000만원, 중계동 중앙하이츠가 700만~1500만원, 월계동 현대가 1000만원 상승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노도강’의 5월 거래량은 1038건이었는데, 지난달에는 2957건으로 한 달 새 3배 가까이 증가했다. 이들 지역의 상승세는 9억원 이상 매물이 나오면 한풀 꺾일 것으로 전망된다. ‘노도강’ 지역은 소형 평면의 구축 아파트들이 많아서 가격이 오르는데는 한계가 있고 9억원이 넘으면 주택담보대출(LTV)의 규제가 적용돼기 때문이다. 결국 수요자에게 가격 저항선이 생겨 거래와 상승세가 주춤할 수밖에 없게된다.
■ 이번 주 중 주택 공급대책 발표 예정…용적률 향상 추진
정부가 이번 주 중으로 발표할 주택 공급대책 확대방안에는 남양주 왕숙, 하남 교산, 인천 계양, 고양 창릉, 부천 대장 등 3기 신도시 지역 외에도 수도권 30만호 공급 계획에 포함된 공공택지에 대한 용적률 상향 추진이 포함돼 있다. 이를 통해 약 1만 가구 이상을 늘린다는 방침이다.
수도권에 집중된 수요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추가 택지 발굴에 어려움이 따른다는 점을 인지하고 기존 공공택지의 용적률 상향을 통해 주택 공급물량을 확보하겠다는 뜻으로 분석된다. 이에 따라 수도권 30만호 공급 계획에 포함된 과천 과천지구를 비롯해 인천 검암역세권, 광명 하안2 등 중규모 택지의 용적률이 상향될 것으로 보인다.
서울지역도 기존에 발표된 용산 정비창 부지 등 택지에서 용적률을 높이는 방안도 나오고 있다. 이렇게 되면 당초 계획됐던 8000가구에서 1만 가구 이상으로 늘어나게 된다.
이외에도 태릉골프장 부지를 포함해 잠실 유수지, 대치동 서울무역전시장(SETEC), 공공기관, 국책연구기관 부지 등이 신규 택지 공급지역으로 거론되고 있고 공공 재건축도입, 역세권 용적률 상향 등 도심 고밀 개발을 통한 주택 공급대책 확대방안도 고려 중인 걸로 알려졌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