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H바텍, 투 폴딩/슬라이딩 힌지 등 폰 시장을 넘어서는 힌지의 성장”
폴더블, 방향성만큼은 변함 없어
[뉴스투데이=장원수 기자] 카카오페이증권은 5일 KH바텍에 대해 반도체 쇼티지의 시대에 대세는 프리미엄폰으로 가고 있다고 전했다.
이승철 카카오페이증권 연구원은 “폴더블폰 시장은 단기간에 폭발적이지 못했을 뿐 방향성만큼은 확실한 시장”이라며 “폴더블 시장의 맹주인 삼성전자가 갤럭시Z폴드 / 갤럭시Z플립 라인업 후속모델을 꾸준히 기획하고 있으며, 향후 투폴딩 힌지를 채택한 태블릿 형태의 폰을 출시할 가능성 크다”고 설명했다.

이승철 연구원은 “이에 따라 2020년 250만대 수준의 폴더블 출하량은 2021년 700만대 이상으로 증가가 예상된다”며 “KH바텍은 그간 삼성전자 폴더블폰에 사용되는 힌지를 단독 공급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연구원은 “프리미엄 이미지와 기구적인 내구성이 중요한 폴더블 폰의 특징을 고려하면 KH바텍와 비견될만한 경쟁사는 시장진입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며, KH바텍은 이에 따른 폴더블 시장의 성장을 향유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투 폴딩 폰 / 롤러블 폰 / 키보드 내장 폰 등 폴더블폰의 디자인이 다양해짐에 따라 힌지의 성장 매력도가 증가한다는 것이 KH바텍에 대한 또 다른 투자포인트”라며 “투 폴딩 폰의 경우 2개의 힌지가 사용되며, 키보드 기구까지 내장할 경우 1개의 폰에 3개 이상의 힌지가 사용될 가능성이 크다”고 언급했다.
그는 “KH바텍은 폴더블 힌지뿐 아니라 그간 슬라이딩 폰 기구 제조를 통해 슬라이딩 힌지 제조에도 확고한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다”며 “이에 따라 폴더블 폰의 라인업이 다양해질수록 KH바텍의 성장성이 부각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반도체 쇼티지 여파가 자동차를 넘어 IT 제품까지 영향을 미침에 따라 핸드셋 제조업체들도 한정적인 자원을 어떻게 투입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이 증가했다”며 “폴더블이 올해 대세로 다시 부각할 것으로 예상하며 이에 따라 KH바텍의 실적 또한 매출액 3500억원, 영업이익 350억원으로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망했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