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의 눈] 국립대학교 총장 임용에서 ‘이유같지 않은 이유’로 밀렸다

황상동 선임기자 입력 : 2024.02.15 18:00 ㅣ 수정 : 2024.02.19 09:40

특정 정치 세력 편에 서 있다는 허위 사실이 유포돼 총장임용이 지연되고 순위가 뒤바뀌어?
공정과 상식이 올바르게 정립돼야 민주주의 사회에서 정의가 실현될 수 있어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image
황상동 선임기자

[뉴스투데이=황상동 선임기자] 지난 6일 열린 국무회의에서는 지난해 7월 국립한국해양대학교 제9대 총장 임용 선거에서 1순위였던 D교수를 배제하고 2순위 L교수를 내정했다. 이는 지난 2019년에 이어 1순위가 탈락하는 사례로 대학 안팎을 혼란스럽게 했다. 

 

이번 사태는 심각한 문제를 안고 있다. 국무회의의 임용 제청안 의결 전부터 확인되지 않은 후보의 정치적 색깔론으로 국립대학교 총장 임용에도 정치적 압력이 작용하는 게 아니냐는 얘기가 나돌았다. 

 

1순위면서도 임용에서 밀린 D교수는 "대학 전체 구성원의 뜻에 따라 선출된 후보에 대한 사실 관계를 외면한 채, 누군가 특정 정치세력 편에 서 있다는 식의 허위사실이 유포되었다“면서, “이런 허위사실로 지난 몇 개월간 총장임용이 지연되었으며, 결국 순위가 뒤바뀌게 될 것이라는 얘기가 학내외에서 난무했다”고 주장했다.

 

아무튼 지난 9일 대통령의 결제로 2위 후보였던 L교수가 제9대 한국해양대 총장에 임명되었으며, 1순위면서도 임용에서 밀린 D교수의 결격 사유는 총장 임기 동안 받았던 경고와 주의 때문이라는 것으로 전해졌다.

 

D교수는 "공정과 상식의 장인 대학이 정치의 장으로 혼탁해지는 게 가슴 아프다“며, ”이유같지 않은 이유로 신성한 교육계마저 정치판으로 바꾸어버리는 현실이 안타깝다“고 토로했다.

 

이어 그는 “아직도 대학에 산재해 있는 업무나 대학의 이미지를 생각하면 더 이상의 논란이 없어야 되겠다는 생각이지만, 대학 안팎에서 수군거리는 배척 이유에 대한 억측에 제2의 피해까지 감당해야 할 지경이다”고 말했다.

 

D교수는 “대학의 현 상황에서 쉽게 결정할 문제는 아니지만 실추된 교육자로서의 명예 회복과 함께 잘못된 사회 정의를 바로세우기 위해서라도 총장임명 취소소송 등 법적 대응으로 총장임용에서 배제된 명확한 ‘이유같은 이유’를 알고 싶다“고 했다.

 

대학교 총장 선거에서 2순위가 임명되는 경우가 이번 뿐만 아니다. 지난 2017년 박근혜 정부 시절에도 2순위가 경북대 총장에 임명되었다. 물론, 1순위였던 교수가 대통령을 상대로 임명 취소소송을 했지만, 법원은 이를 기각한 바 있다.

 

대한민국은 민주주의다. 민주주의 사회에서는 어떠한 경우라도 공정과 상식이 올바르게 정립되어야 한다. 그게 정의다. 우리나라가 정치적 약자를 홀대하는 사회에서 벗어나 올곧은 정치민주화가 되기까지에는 얼마나 많은 시간이 흘러야 할까?

 

BEST 뉴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
 

주요기업 채용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