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승원 기자 입력 : 2025.03.31 02:16 ㅣ 수정 : 2025.03.31 02:16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정책이 몰고올 경제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로 인해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 시장 조정국면, 작년 대선 승리이후 올랐던 상승분 대부분 반납한채 거래량 역시 대선 전으로 회귀
가상화폐 시장이 조정양상을 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뉴스투데이=정승원 기자] 미국 대선 이후 가파른 상승세를 탔던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 시장이 한 달째 약세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재선 직후, 그의 친 가상자산 정책에 대한 기대감으로 비트코인을 비롯한 주요 가상화폐의 가격과 거래량이 급등했지만, 최근 일일 거래량이 선거 이전 수준으로 회귀하며 시장은 지리한 조정국면에 접어든 모습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재선 캠페인 기간 동안 미국을 "가상자산의 수도"로 만들겠다는 공약을 내세우며, 비트코인을 전략적 비축 자산으로 삼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실제로 그는 취임과 동시에 가상자산에 대한 잇딴 우호적인 발언을 쏟아내며 투자자들의 기대감을 높이는 한편, 가상자산 전략 비축을 추진하겠다는 행정명령에 서명하며,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을 중심으로 리플, 솔라나, 카르다노 등의 가상자산을 포함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덕분에 비트코인 가격이 사상 최초로 10만 달러를 돌파하는 등 가상화폐 시장 전반에 활기를 불어넣었다. 코인베이스의 CEO 브라이언 암스트롱은 다보스 세계경제포럼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강력한 지지는 미국 내 가상자산 투자를 촉진할 것"이라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그러나 이러한 상승세는 오래가지 않았다. 최근 들어 가상화폐 일일 거래량이 약 70% 감소하며 선거 이전 수준으로 회귀했다. 이는 초기의 기대감이 현실적인 요소들에 의해 조정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밝힌 가상자산 전략 비축 정책의 실현가능성에 대한 의구심과 트럼프발 관세정책이 촉발할 경제 불확실성이 시장의 발목을 잡고 있다는 지적이다.
찰스 호스킨슨 이더리움 공동 창립자는 “트럼프 대통령의 가상자산 정책이 당파적 성향으로 인해 가상화폐 산업에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를 표명했다. 그는 민주당이 트럼프의 가상자산 관련 정책을 규제 조치로 대응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닉 카터 캐슬아일랜드 벤처스 파트너는 “트럼프 행정부의 가상자산 전략 비축 조치에 대해 일반 대중이 이를 특정계층을 위한 특혜로 받아들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 투자자는 여전히 미국인 중 소수에 불과하다"며 이러한 정책이 대중의 신뢰를 얻기 어려울 수 있다고 언급했다.
제이미 다이먼 JP모건 CEO 역시 “비트코인이 제도권 자산으로 자리 잡는 것은 불가피하지만, 정부가 직접 비축하는 것은 신중해야 할 문제”라며 “가상자산의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국가의 재정 전략으로 활용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에 대해 데이비드 색스 백악관 '가상자산 차르'는 정부의 가상자산 전략 비축이 가상자산 산업을 부양하고 미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미국의 가상자산 비축이, 바이든 행정부의 수년간에 걸친 부패한 공격 이후 위기에 빠진 이 산업을 상승시킬 것"이라고 자신했다.
브래드 갈링하우스 리플 CEO 역시 트럼프 대통령의 가상자산 전략 비축에 리플이 포함된 것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며, 다양한 가상자산이 인정받는 '멀티체인 세계'를 지지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최근 가상화폐 시장이 빠르게 식고 있는 것은 트럼프 대통령이 추진하는 관세정책에 대한 불안감이 작용했기 때문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과 동시에 캐나다와 멕시코를 겨냥한 새로운 관세를 부과한데 이어 유럽에 대해서도 관세폭탄을 예고했다.
갤럭시 디지털의 마이클 노보그라츠 CEO는 "트럼프 대통령의 강경한 보호무역주의와 연이은 관세 부과는 미국 경제에 인플레이션 압력을 높이고, 위험자산 회피 심리를 자극할 것"이라며 "비트코인과 같은 가상자산이 종종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으로 여겨지지만, 단기적으로는 글로벌 투자 심리가 위축되면서 유동성이 축소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린 알든 투자전략의 린 알든 대표는 "트럼프의 관세 정책으로 인해 미·중 간 긴장이 다시 고조될 경우, 중국 내 가상화폐 채굴업체 및 투자자들의 움직임이 위축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녀는 "비트코인의 상당량이 중국에서 채굴되며, 중국 투자자들의 시장 참여가 중요한데, 미·중 무역전쟁이 심화되면 자본 통제가 강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펀드스트랫 톰 리 공동창립자 역시 "미국의 관세 정책으로 인해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가 커질 경우, 기관 투자자들이 보다 안전한 자산으로 이동하면서 가상화폐 시장의 유동성이 감소할 것"이라며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비트코인을 전략적 비축 자산으로 포함한다고 발표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보호무역주의적 경제 정책이 가상자산의 중장기 성장에 장애물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