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도 판매자도 헷갈린다…긴급재난지원금 사용처는?
모호한 사용처 기준으로 소비자 ‘혼란’, 최대 수혜자는 편의점
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서울시는 지난 3월 30일부터 중위 소득 100% 이하 191만 가구 중에서 정부 지원을 받는 73만 가구를 뺀 총 117만7000가구에 지역사랑 상품권, 신용·체크카드의 포인트 또는 선불카드 3가지 방식으로 지원하고 있다. 가구 구성원 수에 따라 30만~50만 원을 지원한다.
문제는 모호한 기준은 물론 지자체별 다른 사용처 기준이다. 소상공인을 돕자는 취지에 따라 서울시는 대형마트와 백화점 등을 사용처에서 제외해 이마트와 롯데마트에서는 결제가 되지 않지만 홈플러스는 대형마트 중 유일하게 긴급재난지원금 사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경기도에서는 홈플러스가 재난기본소득 사용처가 아니기 때문에 재난기본소득 사용이 불가능하다. 이처럼 사용처 기준이 지자체별로 차이가 있어 소비자들 사이에서 각종 혼란이 빚어지자 행정안전부는 오는 11일부터 신청받는 정부 긴급재난지원금의 사용처 가이드라인을 만드는 중이다.
이커머스와 오프라인 간의 차별도 논란이다. 최근 코로나19 사태로 큰 피해를 본 마트를 포함한 오프라인 매장에서는 선불카드 사용이 안되는 반면, 쿠팡, 11번가, 티몬 등 온라인에서는 일부 사용이 가능하다.
이와 관련 서울시 관계자는 “거동이 불편한 분들을 위해 오프라인 외에 온라인 결제를 열어둔 것이다 ”면서 “사업자의 주소지가 서울이어야 결제할 수 있도록 나름의 제한을 걸어뒀다”고 설명했다.
오락가락하는 사용처도 지적되고 있다. NC백화점, AK백화점은 기존 백화점 중 사용이 가능한 곳으로 분류됐지만 최근에는 또 불가능한 곳으로 바뀌었다. 대형마트인 코스트코 및 중소형 마켓 킴스클럽과 노브랜드도 불가능으로 바뀌었다.

이처럼 사용처 기준이 복잡하고 모호하다 보니 결국 집 근처 편의점으로 발길을 돌리는 소비자들이 많아지고 있다. 업계에서는 편의점이 긴급재난지원금의 최대 수혜자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가 지역 화폐 사용을 권장하다 보니 편의점 업계에서는 각종 프로모션을 제공하며 긴급재난지원금을 사용하는 고객 모시기에 분주하다.
한 소비자는 “최근 옷을 사러 한 매장에 갔는데 가격표에 적혀 있는 가격이 현금 가격이라면서 매장 직원으로부터 재난지원금 카드 사용 시 10%를 더 내라는 황당한 요구를 받았다”면서 “결국 재난지원금 카드 사용 시 가격을 올려받는 매장 대신 각종 이벤트를 제공하는 편의점에서 장을 봤다”고 전했다.
CU는 5월 한 달간 지역 화폐 사용 고객에게 5%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GS25에서는 두부와 음료, 라면 등의 상품 등에 대해 1+1행사를 진행하며 이마트24 역시 비플제로페이(제로페이, 모바일상품권 결제가 가능한 간편결제 앱)로 도시락, 샌드위치, 김밥 등을 결제하면 20% 캐시백을 받을 수 있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