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경을 이긴 연예인 (4)] 외로운 소년 임영웅의 멘토가 된 ‘사범님’

염보연 기자 입력 : 2020.05.05 05:05 ㅣ 수정 : 2020.05.05 20:50

열 살 때부터 임영웅 이끈 태권도 관장 출신 김종천 전 포천시장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한국에서 성공한 연예인은 고수익을 올리는 권력계층으로 굳어졌다. 유명대학 총장보다 인기 연예인의 발언이 갖는 사회적 파장이 훨씬 크다. 서울대 조사에 따르면 한국 청소년들은 의사나 변호사 같은 전통적 인기직업보다 연예인이나 스포츠 스타 등을 희망직업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기도 했다. 그러나 화려한 연예계의 이면에는 대부분의 경우 깊은 아픔이 숨어있다. 역경을 딛고 성공가도를 달리거나, 좌절의 수렁에서 빠져나오려고 전력투구하는 연예인들의 모습은 우리에게 여러 가지 생각거리를 던진다. <편집자 주>

 
임영웅이 무명가수 시절이던 2017년, 어릴 적 태권도 사범이었던 김종천 전 시장과 함께 시장실서 찍은 사진[사진제공=포천시청]
 

[뉴스투데이=염보연 기자] TV조선 ‘내일은 미스터트롯’이 배출한 최고의 스타는 역시 임영웅이다. ‘감성장인’ 임영웅은 짙은 감성, 그러면서도 맑은 음색과 시원한 가창력, 스타성으로 방송 내내 압도적인 지지를 받아 ‘진’의 자리에 올랐다.

 

1991년생 임영웅은 경기도 포천에서 외동아들로 태어났다. ‘영웅이 되라’는 뜻을 담아 아들의 이름을 준 아버지는 5살 때 돌아가셨다. 임영웅에게 어린이날은 각별하다. 어린 영웅은 “외로워도 슬퍼도 나는 안울어”라고 다짐했던 만화영화 주인공 캔디처럼 자신을 다독여야 했을 것이다.

 

■열살 소년 임영웅이 만난 태권도 사범

 

30대에 혼자가 된 어머니는 미장원을 차려 아들을 키웠다. 그리고 유난히 운동을 좋아했던 임영웅을 초등학교 3학년, 열 살 때 미장원과 같은 건물에 있는 태권도장에 넣었다,

 

이때 임영웅을 맞은 포천시 송우리 태권도장의 관장이 김종천 전 포천시장이다. 북한 땅인 철원 북방 김화 출신 실향민 아들인 김 전 시장은 한국체대를 졸업하고 한국체육관이라는 태권도장을 운영하고 있었다.

 

김종천 전 시장은 포천시 송우리에 있는 송우초, 송우중, 동남고를 졸업했는데 임영웅이 초 중 고교 후배인데다 영웅이 처럼 자신도 어린 나이에 아버지를 여읜 바 있어 각별한 애정을 가졌다.

 

김종천 전 시장은 임영웅의 첫 인상을 “어린 나이지만 키가 크고 예뻤다”고 기억했다. 같은 건물 5층에 태권도장이 있고 미장원은 1층이어서 임영웅의 어머니와 가족사정을 잘 알았던 김 전 시장은 영웅을 걱정했지만 생각과 달리 “성격이 쾌활하면서도 착하고, 반듯했다”고 말했다.

 

임영웅의 밝은 성격을 보여주는 일화가 있다. 그가 11살 때 양동이에 얼굴을 긁혀 작지 않은 흉터가 생겼다. 어린아이 얼굴의 흉터 때문에 콤플렉스가 생기지나 않을까 성형수술을 걱정하는 어머니를 오히려 영웅이 위로했다. 어머니에게 “내 얼굴에 나이키 있다”고 했다는 것이다.

 

김종천 전 시장과 임영웅의 인연은 중 고등학교와 대학생, 무명가수 시절을 거쳐 트롯황제가 된 지금까지 쭉 이어지고 있다. 예체능에 소질을 보였던 임영웅이 고교 및 대학생 때 까지 태권도를 계속해 인연이 지속됐기 때문이다.

 

김 전 시장은 “영웅이에게 착하고 겸손하게 살라고 지겨울 정도로 타일러도 돌아오는 말은 늘 공손하게 ‘네’ 였고, 토를 달지 않았다”고 말했다.

 

■ 어릴적부터 ‘끼’ 보였던 임영웅, 예체능에 두각

 

임영웅은 어린 소년 시절부터 태권도 뿐 아니라 예체능에 두각을 보였다. 김종천 전 시장은 “태권도장 관원들인 초등학생 아이들끼리 장기자랑을 하면 당시 유행하던 임창정이나 코요테 같은 가수들 노래를 부르는데 잘하니까 혼자서 여러곡을 불렀다”고 기억했다.

 

임영웅은 태권도 뿐 아니라 축구도 아주 잘해서 태권도장 간 시합은 물론 중·고등학교, 대학교 시합 때도 대표로 뛰었다고 한다. 어린시절부터 그의 몸속에 감출 수 없는 예체능 DNA가 내재돼 있었던 것이다.

 

어릴 적 꿈은 노래보다는 운동이었다. 초등학교 때는 축구선수를 꿈꿨고, 중학교 때는 태권도 교육 쪽으로 나가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중학교 시절 3년 간 반장을 맡기도 했다.

 

음악쪽으로 진로가 바뀐 건 고등학교 2학년때였다. 야간자율학습에 싫증을 느껴 친구를 따라 실용음악학원에 발을 들였다. 친구는 학원 시험에 떨어졌지만 임영웅은 B등급으로 붙었다고 한다.

 

결국 경복대학교 실용음악과로 진학했다. 처음엔 발라드가수가 목표였지만, 가요제에서 계속 탈락했다. 그러다 2015년 포천 시민가요제에 참가했을 때는, 행사 분위기상 트로트를 불렀는데 최우수상을 받았다.

 

임영웅은 2016년 전국노래자랑 포천 편에 일반인으로 참가했다. 맑은 목소리로 ‘일소일소 일노일로’를 열창하고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트로트의 길을 걸게 됐다.

 

■ 시장이 된 태권도 사범, “꿈을 포기하지 않으면 반드시 성공”

 

김 전 시장은 2년 전부터 암과 싸우고 있다. 2017년 4월 보궐선거로 시장이 된 김 전 시장은 2018년 지방선거에서 재선이 유력했지만 선거를 앞둔 어느날 병원의 암 진단서를 받고 출마를 접었다.

 

김종천 전 시장은 두 번의 시의원을 역임한 뒤 시장에 당선됐다. 태권도 관장으로서 성실하고 바른 자세 때문에 지역 주민들에게 좋은 평판을 얻은 것이 정치로도 성공한 비결이었다.

 

올초 ‘미스터 트롯’ 경연이 한창일 때, 김 전 시장은 강화도에서 요양 중이었다. 두 사람은 경연 중에도 격려를 보내고 안부를 묻는 카톡을 주고 받았다. 임영웅은 김 전 시장의 하루하루 건강이 어떤지 걱정했고, 김 전 시장은 “실력은 네가 최고니까 긴장하지 말고, 평소처럼 해라”고 응원했다.

 
[사진제공=임영웅 인스타그램]
 

임영웅이 미스터 트롯 1위, 진에 오른 것에 대해 김 전 시장은 “착하고 바르게, 성실한 노력으로 열심히 사는 사람들이 성공한다는 진리를 보여준 것”이라고 말했다. 임영웅이 무명가수 시절 김 전 시장은 “꿈을 포기하지만 않으면 반드시 성공할 수 있다”고 지속적으로 격려했다.

 

또 “무명가수 시절 영웅이가 군고구마장수 아르바이트를 해야 할 정도로 형편이 어려웠지만 어긋난 길로 가지 않고 정상의 자리에 오른 것을 보고 내가 너무너무 행복하다”고 전했다.

 

임영웅은 지난 3월14일 우승을 하자 “엄마만 남겨두고 떠난 것이 미안해 아버지가 준 선물인 것 같다”고 말했다. 어릴적의 불행을 떨쳐버린 ‘착하고 반듯함’을 보여준 소감이다.

 

“한 아이를 키우는데 온 마을이 필요하다”는 인류 공통의 명언이 있다. 스타는 스스로의 힘 만으로 만들어지지 않는다. 김종천 전 시장은 트롯의 부활, 범세대적 인기를 만든 영웅을 도운 진정한 멘토이다.

임영웅[사진캡처=TV조선]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
 

주요기업 채용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