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진영 기자 입력 : 2024.12.26 15:46 ㅣ 수정 : 2024.12.26 15:46
고용부, 17개 지자체 ‘2023년 일‧생활 균형 지수’ 발표 워라밸 전국 평균 60.8점…세종‧인천‧대전 등이 '빅3' 근로시간 ‘대전’, 생활 ‘부산’, 제도 ‘서울’ 등이 각각 1위 제주‧경북‧대구 등 워라밸 지수 낮게 나타나 개선 필요
정부와 기업들이 근로시간을 단축하고 다양한 출산 양육 제도를 시행하면서 근로자들의 일‧생활균형 지수가 향상되고 있다. [사진=미드저니 / Made by A.I]
[뉴스투데이=박진영 기자] 일‧생활 균형 지수가 매년 올라가고 있다. 근로시간은 줄어들고, 출산이나 양육과 관련한 제도들은 개선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일‧생활 균형 지수가 가장 높은 곳은 세종으로 밝혀졌고, 이번에 추가된 ‘정부 인증 가사서비스 활성화’ 영역에서는 서울과 부산이 만점을 받았다.
고용노동부(장관 김문수)는 서울‧부산‧광주 등 전국 17개 광역 지자체를 대상으로 ‘근로시간(일)’, ‘여가시간(생활)’, ‘일‧가정 양립’등의 제도 활용 정도와 지자체 관심도를 분석해 지난해 기준 지역별 일‧생활 균형 지수를 25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에서는 정부인증 가사서비스 활성화 실적도 가점 항목으로 신규 포함했다.
지난해 전체 평균은 60.8점으로 전년 조사의 58.7점 대비 2.1점 상승했다. 영역별로는 일(+0.5), 제도(+0.4), 지자체 관심도(+1.4) 영역에서 점수가 소폭 증가했고, 생활 영역은 0.1점 하락했다.
최근 5년간 전국 17개 광역 지자체 일‧생활 균형 지수 변화 추이 [자료=고용노동부 / 그래픽=박진영 기자]
근로시간 영역에서 대전(17.0)이 1위를 기록했다. 대전은 총 근로시간이 감소하고 유연근무 도입률‧이용률은 크게 증가했다. 이어 인천(16.7), 경기(16.0) 등이 초과근로 감소와 휴가 사용 기간 증가, 유연근무 도입률 증가 등의 영향으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여가시간 영역은 부산(18.0), 울산(17.7), 경남(17.6)이 상위권을 차지했다. 이 지역들은 평일 여가시간이 다른 지역보다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부산은 평일 여가시간과 평일 여가시간 충분도가 상승하며 지난해에 이어 연속으로 1위 자리를 지켰다.
제도활용 영역에서는 초등돌봄교실 이용률과 일‧가정 양립제도 인지도, 배우자 출산휴가 사용 사업장 비율 등이 증가한 서울(21.2)이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국‧공립 보육시설 설치율과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사용 사업장 비율이 높은 세종(19.8)과 대전(19.6)도 상위권을 차지했다.
2023년 시도별 일‧생활 균형 지수 순위 [자료=고용노동부 / 그래픽=박진영 기자]
지역별로는 세종(67.8), 인천(67.1), 대전(66.5), 충북(66.0), 충남(64.5)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제주(49.1), 경북(54.5), 대구(54.6) 순으로 낮게 조사됐다. 정부인증 가사서비스 가점을 포함할 경우 인천(70.5), 충남(68.9), 경기(68.4) 순으로 높았다.
세종은 전국에서 가장 높은 국공립 보육시설 설치율을 자랑했으며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사용 중소사업체 비율이 높아 ‘제도활용’ 영역에서 2위, ‘지자체 관심도’에서 1위를 기록했다.
인천은 유연근무제의 도입‧이용률이 높고, 휴가 사용 일수가 많아서 ‘근로시간’ 영역에서 2위를 기록했다. 일‧생활 균형 관련 신규 조례를 제정해 ‘지자체 관심도’ 영역 점수도 큰 폭으로 상승했다.
지난해 지역별 점수는 전년과 비교할 때, 전북(+8.8점, 16위→8위), 인천(+8.2점, 9→2위), 대전(+7.2점, 8→3위) 등은 점수 상승폭이 컸고, 제주(-7.1점, 13→17위), 대구(-6.0점, 5→15위) 등은 점수 하락폭이 컸다.
한편, 이번 조사부터 가점항목에 포함된 정부 인증 가사서비스 활성화 영역에서는 서울과 부산이 각각 5점 만점을 받았다. 이어서 경기(4.7)와 충남(4.4)이 높게 나타났으며 제주와 강원, 대구는 0점으로 집계됐다.
이정한 고용정책실장은 “일생활 균형은 저출생 극복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자치단체가 지역 여건을 살피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면서 “정부도 내년 육아휴직 급여를 대폭 인상하고, 유연근무 지원을 확대하는 등 일생활 균형 지원을 강화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