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 핵심 사업된 '해외사업'…올해도 고성장 전망
서학개미 열풍, 올해도 '해외주식' 경쟁력 부각
작년 증권사 당기순익 7조육박, 전년比 23.0%↑

[뉴스투데이=황수분 기자] 지난해 증권사들이 해외주식 거래가 급증하며 실적 개선이 이뤄진 가운데 올해도 해외주식 사업 부문에 집중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 미국 증시 강세로 해외주식 투자에 나선 이른바 ‘서학개미’ 열풍에 힘입어 브로커리지(위탁매매) 수익 수수료가 급증한 이유다. 이로 인해 영업이익을 올리며 1조클럽에도 복귀했다.
실제로 지난해 증권사들의 당기순이익이 약 7조원에 육박했다. 2022년 저점(4조5000억원) 이후 회복세가 지속된 결과다.
25일 금융감독원(금감원)의 '2024년 증권·선물회사 영업실적(잠정)'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증권사 60개의 당기순이익이 6조9870억원으로, 전년 대비 23.0% 늘었다.
지난해 주요 주가지수 및 원·달러 환율 상승 등 시장 변동성 확대로 자기매매손익이 증가한 것도 있으나, 해외주식 거래 증가가 한몫했다. 그 외에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신규 취급 재개로 인한 위탁매매 부문과 IB 실적 개선이 실적 성장을 뒷받침했다.
자세히는 지난해 증권사 수수료수익은 12조9457억원으로 전년 대비 10.4% 늘었다. 이중 수탁 수수료는 6조2658억원이었다.
즉 국내주식 거래대금은 전년 수준을 유지했으나, 해외주식 거래가 급증하면서 전년(5조5312억원) 대비 7346억원(13.3%) 불었다. IB부문 수수료는 3조7422억원으로, 전년 대비 14.2% 늘었다.
이에 대해 전일 금감원은 "대형 증권사는 자기매매 및 위탁매매 부문 이익이 증가하며 전반적으로 실적이 개선됐다"고 평가했다.
증권가는 지난해 84% 늘었던 해외주식 약정대금(예탁결제원 기준)이 올해도 20% 이상 고성장을 예상했다.
올해 초부터 지난 19일까지 누적된 개인·일반법인의 해외주식 순매수액은 104억달러(약 15조2000억원)로 국내 주식 순매수액 4조9000억원을 웃돌았다.
앞서 한국투자증권은 만약 해외주식 수익이 20% 증가한다면, 실제 증권사별 세전 240억원에서 최대 540억원의 순수익이 발생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연간 세전이익 대비 3~4% 수준이다.
백두산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올해 1분기 해외주식 약정대금은 1643억달러로, 전 분기 대비 11% 감소하나 전년 동기 대비로는 여전히 60%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상황이 이렇자, 지난해 이어 올해 증권업계는 해외사업 부문을 핵심 사업으로 꼽고 사업 비중을 확대하고 있다. 현재 증권사들의 주요 사업 부문인 해외주식 부문에서의 높은 경쟁력이 부각되는 분위기다.
설용진 SK증권 연구원은 “해외주식의 경우 해외 법인을 활용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마진이 기대된다”며 “해외 부동산 관련 불확실성도 점진적으로 개선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BEST 뉴스
댓글(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