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의 JOB카툰] 데이터시각화디자이너, 데이터를 시각 언어로 표현하는 전문가

박진영 기자 입력 : 2025.04.05 07:58 ㅣ 수정 : 2025.04.05 07:58

다양한 프로그램 활용해 데이터 자료를 시각화
데이터산업진흥원·디자인진흥원 통해 역량 강화
빅데이터 업체·데이터 시각화 전문 업체에 종사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image
데이터시각화디자이너는 프로그램이나 시각화도구 등을 활용해 데이터를 가공·분석해 시각 언어로 표현한다. [일러스트=미드저니, 편집=박진영 기자 / Made by A.I]

 

[뉴스투데이=박진영 기자] 데이터시각화디자이너는 다양한 데이터 자료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시각 언어로 바꾸는 일을 하는 전문가를 말한다.

 

데이터시각화디자이너가 되기 위해서는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에서 운영하는 빅데이터 아카데미 등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에 참석하거나 '데이터아키텍처 전문가(DAP)', 'SQL 전문가(SQLP)', '데이터분석 전문가(ADP)' 등의 자격을 취득해야 한다.

 

데이터 자료가 넘쳐나며 데이터 시각화에 대한 수요는 늘어나지만 이를 전문 분야로 바라보는 인식은 부족한 편이다. 그만큼 전문 인력 수요가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 '데이터시각화디자이너'가 하는 일은

 

데이터시각화디자이너는 데이터 분석 결과를 쉽고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다양한 시각화 툴을 활용해 핵심요소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구체적인 업무 프로세스를 살펴보면,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와 분석 결과를 시각화하기 위해 표현 규칙과 사용자 관점의 시각화 요건을 정의하고, 시각화 요건에 따른 사용자 시나리오를 작성한다. 이어 핵심요소·그래픽 요소를 사용해 스토리보드를 기획한다. 기획된 스토리보드에 따라 시각화를 구현하기 위한 도구와 기술을 선택하고, 정보 시각화를 위한 접근방법을 결정한다. 

 

분석한 핵심 내용을 단순하고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구조적으로 시각화하며, 추가 정보를 이용해 시각화한 그래프를 보정한다. 이때 시각화를 극대화하고, 품질을 높이기 위해 타이포그래피, 그리드, 색상, 아이소타이프(그림문자) 등의 그래픽디자인을 적용할 수 있다. 정보 사용자의 행동이나 조작에 따른 반응, 정보 시각화의 변화 등으로 정보와 정보 사용자 간의 관계 확장을 위해 사용자 참여를 유도하는 인터랙션 기능을 구현한다. 또, 최종 디자인된 시각화 결과물이 적절하게 구현됐는지 확인한다.

 

■ '데이터시각화디자이너'가 되는 법은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에서는 빅데이터 아카데미를 통해 데이터 시각화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빅데이터 아카데미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이 운영하는 산업계 재직자 대상 빅데이터 전문가 양성프로그램이다. 지난 2021년부터 산업의 수요가 높은 데이터 거래와 가공, 시각화 등 신직종 과정을 신설해 운영하고 있다. 한국디자인진흥원에서도 2019년부터 재직자 대상 디자인 역량 제고를 위한 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데이터 시각화와 관련한 국가자격은 없으나 데이터 전문인력 자격으로는 '빅데이터 분석기사', '데이터아키텍처 전문가(DAP)', 'SQL 전문가(SQLP)', '데이터분석 전문가(ADP)' 등이 있다.

 

■ '데이터시각화디자이너'의 현재와 미래는

 

국내의 데이터시각화디자이너는 스타트업과 언론, 방송, 솔루션 업체 등을 중심으로 채용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시장이 외국처럼 형성되지는 않았다. 주로 빅데이터 분석 업체, 데이터 시각화 전문 업체에 종사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에서 실시한 '데이터산업 현황조사'에 의하면, 데이터산업 중에서도 데이터 분석 솔루션 분야는 34.5%를 차지하며 크게 성장한 시장이다. 데이터 분석 솔루션 개발·공급업 분야는 '정형·비정형 데이터 및 실시간 데이터 분석', '데이터 처리', '데이터 시각화 분석 업무'를 포함한다. 

 

현재 대부분의 업・직종에서는 데이터분석가와 데이터시각화디자이너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다. 데이터 분석가의 업무 중 하나로 데이터 시각화가 포함됐다. 따라서 전문 자격증 역시 데이터 분석 자격증 내 항목으로써 시각화 능력을 시험하는 방식이다. 관련 자격증으로는 한국데이터 진흥원에서 주관하는 국가공인 자격증인 '데이터 분석 전문가 자격증(ADAP, Advanced Data Analytics Professional)'이 있다. ADAP는 '데이터 이해'와 '데이터 처리기술 이해', '데이터 분석 기획', '데이터 분석', '데이터 시각화'를 다룬다. 데이터 시각화를 별도의 전문 분야로 바라보는 인식의 부재로, 데이터시각화디자이너의 전문 육성 프로그램은 부족한 실상이다.

 

BEST 뉴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
 

주요기업 채용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