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투데이

검색
https://m.news2day.co.kr/article/20221003500028
에어 모빌리티(Air Mobility) 들여다보기 (16)

도심항공모빌리티(UAM) 신흥강자들⑤-베타테크놀로지(Beta Technologies) (상)

글자확대 글자축소
최봉 산업경제 전문기자
입력 : 2022.10.04 00:30 ㅣ 수정 : 2022.10.04 00:30

[기사요약]
업계의 또다른 강자 베타, AAM 실현지수(ARI) 3위에 랭크
하버드대 출신 괴짜 엔지니어링 인텔리가 2017년 설립한 스타트업
여객운송에 초점 맞춘 경쟁업체와 달리 화물운송에 우선 진입 목표
화물운송 중 특히 인간장기(臟器) 운송을 주요 분야로 꼽아
프로토타입 테스트 성공 후, 초기 투자자 추가 자금투입 이끌어내..

‘이동성(Mobility)’ 분야에서 일어나고 있는 급격한 변화는 2차원(2D)의 지상운송수단을 넘어 3차원(3D)의 공중운송수단으로 확대되고 있다. 미래 교통수단의 ‘혁명’을 운운하면서 도심항공모빌리티(UAM), 에어택시, 드론, 수직이착륙기(VTOL) 등 많은 용어가 등장함에 따라 에어 모빌리티 관련 새로운 기술과 정보를 따라가기에도 버거운 세상이다. 차세대의 황금 노다지로 인식되고 있는 에어 모빌리티 시장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참여자들은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 살펴보기로 한다. <편집자 주>

 

image
공중으로 떠오르고 있는 베타의 첫번째 eVTOL 시연기 '에바(Ava XC)' [출처=evtol.news]

 

[뉴스투데이=최봉 산업경제 전문기자] SMG 컨설팅이 지난 8월에 발표한 미래항공모빌리티 실현지수(ARI, AAM Reality Index)에 따르면, 1위는 8.7점 조비(Joby Aviation), 2위는 8.4점 독일의 볼로콥터(Volocopter)였으며, 3위는 이번 편에서 소개하는 8.0점의 베타테크놀로지(Beta Technologies, 이하 베타)가 차지하였다.

 

베타는 2021년 5월부터 2022년 2월까지의 조사에서 조비에 이어 2위를 차지했던 업계의 또다른 강자로 평가받는다.

 

참고로 ARI는 0점(자금조달이 거의 또는 전혀 없이 시장만을 고려하는 회사)부터 10점 만점(연간 수천 단위로 생산되는 상용 제품을 보유한 회사)까지 점수를 매기는데, 아직까지 AAM 시장에서 10점 만점을 받은 기업은 없다.

 

image
[출처=beta.team]

 


• 하버드대 출신 괴짜가 설립한 베타, AAM 업계의 또다른 강자

 

베타는 풍부한 경험을 가진 파일럿이자 엔지니어이면서 기업가인 카일 클라크(Kyle Clark)가 2017년 미국 버몬트주에 설립한 스타트업 기업이다. 카일 클라크는 하버드대 출신(School of Engineering and Applied Science)이면서 전직 프로하키 선수이기도 하다.

 

괴짜였던 카일 클라크는 하버드대에서 엔지니어링 인텔리로 두각을 나타냈으며, 당시 그의 하키팀 동료들이 그에게 ‘베타(Beta)’라는 별명을 붙여주었다고 한다. 결과적으로 그 별명이 현재의 사명이 된 것이다.

 

항공기 제작에 대한 그의 열정은 이미 학창시절부터 엿볼 수 있었는데, 그는 항상 비행기 제작 방법에 관한 교과서에 몰두하였다.

 

베타 창업 이후에도 회사의 첫 시험조종사(test pilot)가 되기 위해 그는 헬리콥터 조종방법을 배웠고 동력 리프트 등급에 대한 FAA 자격을 취득한 바 있다.

 

카일 클라크를 항공(eVTOL 항공기)분야의 개척자라고 칭하는 것은 그가 실제로 eVTOL 항공기로 비행해본 세계에서 몇 안 되는 사람 중 한 명이기 때문일 것이다(“Behind the controls of an eVTOL aircraft: A test pilot’s perspective”, Vertical 2019.2.7.).

 

image
베타의 격납고 [출처=sevendaysvt]

 


• 베타는 우선 화물운송시장 진입 목표, 특히 인간장기 운송에 특화

 

eVTOL 항공기 분야의 경쟁사들이 여객운송에 초점을 맞추어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것과 달리, 베타는 화물운송시장에 우선 진입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인간장기(臟器) 운송을 주요 분야로 꼽고 있는데, 이는 베타의 설립에 초기투자자금을 지원한 유나이티드 테라퓨틱스(United Therapeutics)와 연관이 있기 때문이다.

 

유나이티드 테라퓨틱스는 마틴 로스블랫(Martine Rothblatt)이 1996년 설립한 바이오테크놀로지 기업으로 폐질환 및 장기제조분야의 환자를 위한 새로운 생명연장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유나이티드 테라퓨틱스는 인간장기 배달을 위해 베타의 항공기를 사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image
카일 클라크(우)가 베타의 초기 투자자이자 고객인 마틴 로스블랫(좌)과 함께 ‘알리아(Alia)’로 비행중이다. [출처=seas.harvard]

 

마틴 로스블랫은 유나이티드 테라퓨틱스가 2030년 이전에 제조하고자 하는 인간장기를 운반할 수 있는 탄소중립 항공기를 원했다.

 

이에 따라 2016년 유나이티드 테라퓨틱스의 자회사인 렁 바이오테크놀로지(Lung Biotechnology)는 eVTOL 항공기를 개발 중인 중국 스타트업 이항(EHang)에 1천만달러를 투자했다.

 

그러나 마틴 로스블랫은 여기서 그치지 않고 또다른 투자처를 찾게 되었는데, 이렇게 해서 만난 기업이 베타였으며 초기투자자금으로 150만달러를 지원하였다.

 


• 프로토타입 시연기 성공후, 실제 사용할 ‘알리아’ 개발에 주력

 

10개월 만에 베타의 소규모 팀은 비밀리에 첫번째 eVTOL 프로토타입의 설계, 제작 및 호버링을 마쳤다.

 

8개의 틸팅 프로펠러로 작동하는 시연기(demonstrator) ‘에바(Ava XC)’의 성공적인 호버 테스트에 힘입어 베타는 유나이티드 테라퓨틱스로부터 4800만달러의 계약을 이끌어냈다.

 

image
베타의 첫번째 eVTOL 시연기 '에바(Ava XC)' [출처=gallery.vtol]

 

일단 에바가 높이 떠오르는 것에 성공하자 카일 클라크는 후속기종으로 생각하고 있는 ‘알리아(Alia)’의 모습 스케치를 투자자와 잠재고객에게 보냈다.

 

알리아가 실제 사용하게 될 eVTOL 항공기라는 것을 투자자에게 알렸으며, 현재 베타가 개발에 주력하고 있는 기종이 Alia-250이다.

 

다음 편에서는 알리아를 중심으로 한 베타의 구체적인 사업전개에 대해 소개한다.

 

 


 

image
cbong1109@news2day.co.kr
이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뉴스투데이 & m.news2day.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

많이 본 기사

  1. 1 [미네르바의 눈] 물류단상(物流斷想): ‘ProMat 2025’로 본 물류의 자동화 물결, 그리고 AI
  1. 2 [미네르바의 눈] 물류단상(物流斷想): 해운업으로 성장한 미국 역사의 교훈
  1. 3 [CES 2025 포커스 (5)(끝)] Physical AI - 모바일, 가전 및 헬스케어에서도 온 디바이스 AI 넘어서 적용 확대 추세
  1. 4 [CES 2025 포커스 (4)] ‘Physical AI 임베디드 모빌리티’ 시대를 예고
  1. 5 [생성형 AI(Generative AI), 인간의 창작 영역을 넘본다! (95)] ‘AI 에이전트’가 몰려온다! ⑨ - 중국의 AI 에이전트 ‘마누스(Manus)’, 또다른 센세이션 일으키다 (上)
  1. 6 [스마트관광으로 재도약하는 K-관광대국 (4)] 스마트공연예술, 어디까지 왔나? (下)
  1. 7 [ESG 인사이드 (59)] 기업의 지속가능성, G(거버넌스)에 묻는다!
  1. 8 [일본 종합상사가 눈독 들이는 미래사업은? (57)] 신에너지, 에너지의 미래를 개척하다! ⑬ - 미쓰이 물산(三井物産) (上)
  1. 9 [생성형 AI(Generative AI), 인간의 창작 영역을 넘본다! (96)] ‘AI 에이전트’가 몰려온다! ⑩ - 중국의 AI 에이전트 ‘마누스(Manus)’, 또다른 센세이션 일으키다 (中)
  1. 10 [미네르바의 눈] 트럼프 관세정책, 그 배경은 무엇이고 경제에 어떤 영향 미칠까?
ENG 네이버 블로그 네이버 포스트 인스타그램 유튜브 페이스북 이메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