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집값 상승 ‘꿈틀’…정부, 강력한 추가 대책 ‘만지작’

최천욱 기자 입력 : 2020.06.15 15:50 ㅣ 수정 : 2020.06.15 15:50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 이어져…비강남권과 안산, 인천 등 확대 / 수도권 비규제 지역 조정대상지역에 편입 시킬 듯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뉴스투데이=최천욱 기자] 지난달 말부터 상승 전환된 서울 아파트값의 상승 추세가 이어지고 있고, 경기 안산, 인천 등 수도권 저평가 지역도 오름폭이 커지고 있다. 이처럼 수도권 전반에서 집값 상승세가 고개를 들면서 정부가 어떤 대책을, 언제쯤 내놓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15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이번 주 서울 아파트값 변동률은 전주(0.03%)와 동일하다. 재건축(0.04%→0.08%)의 상승폭이 확대됐고 일반 아파트는 지난주와 같은 상승률(0.03%)을 보였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집값의 상승세가 심상치 않음에 따라 수도권의 비규제 지역을 조정대상지역에 편입 시키는 등 정부가 추가 대책을 내놓을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사진은 최근 6단지가 안전진단을 통과한 양천구 목동의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제공=연합뉴스]
 

지역별로는 노원(0.16%), 금천(0.10%), 관악(0.08%), 구로(0.08%), 중구(0.08%), 영등포(0.07%), 강북(0.05%), 도봉(0.05%) 등 순으로 올랐다. 이들 지역에는 9억원 이하 중저가 아파트들이 많이 몰려있다. 노원은 중계동 중앙하이츠, 성원2차, 상계동 상계주공7단지, 불암현대 등이 500만~1000만원 상승했다.

 
금천은 가산동 두산위브와 남서울힐스테이트 등 대단지 아파트가 500만원 올랐다. 관악은 봉천동 성현동아와 벽산블루밍이 500만~750만원 상승했다.
 
양천(0.05%)은 목동신시가지 6단지 아파트가 재건축 안전진단 적정성 검토를 통과해 상승세를 이어갔다. 이 단지는 최근 한국시설안전공단의 안전진단 적정섬 검토에서 D등급(54.58점)을 받아 재건축 추진이 최종 확정됐다.
 
총 14개 단지 2만7000여 가구 규모의 목동신시가지에서 6단지가 처음으로 안전진단을 통과함에 따라 향후 다른 단지들의 재건축이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현재 5단지는1차 정밀안전진단 결과 D등급(조건부 재건축)을 받았고 9단지는 오는 9월께 2차 안전진단 결과가 나올 예정이다. 나머지 단지들도 재건축 안전진단을 신청한 걸로 알려졌다.
 
한 전문가는 “한정된 시장의 안전진단 관련 이슈 초기 단계로 이로 인해 서울 아파트값의 상승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 다만, 개발이슈가 목동만이 아니고 GBC, 잠실 등도 있다. 복합적으로 작용하면 상승의 여지는 충분하다”며, “그러나 상승을 해도 호가 위주로 제한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전문가는 “한 곳에서 평가가 나왔기 때문에 다른 단지의 재건축 사업에 속도가 붙을 것”이라면서 “재건축 단지는 새 아파트가 들어서 집값이 오를 전망이지만, 이 지역(목동)은 대출이 되지 않는 고가 아파트라 (가격)급등 현상은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경기와 인천지역은 안산(0.16%), 인천(0.14%), 남양주(0.13%), 부천(0.11%), 의왕(0.11%), 광명(0.10%), 용인(0.10%), 오산(0.10%) 순으로 상승했다.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지역들이 갭메우기에 나선 분위기다. 안산은 고잔동 주공그린빌8단지와 원곡동 경남아너스빌이 500만~1000만원 상승했다.
 
인천은 미추홀구 학익동 엑슬루타워가 500만~1000만원, 남동구 구월동 롯데캐슬골드2단지, 부평구 부개동 부개역푸르지오가 250만~1000만원 올랐다.
 
부동산114 관계자는 “최근 상승세는 비강남권과 경기, 인천지역이 주도하고 있다”며 “조정대상지역 확대 등 규제 강도가 어느 정도까지 미칠지 불확실한 상황이다”고 말했다. 이어 “사상 최저금리에 대출 규제 영향까지 덜 받는 갭투자 수요가 수도권 아파트 시장에 유입될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최근 수도권 집값 상승세와 관련해 업계 관계자는 “수도권을 중심으로 집값의 상승세가 심상치 않다. 대출 규제가 자유로운 노원, 금천 등 비강남권을 중심으로 거래가 주를 이루고 있는 가운데 인천, 안산 등 지역도 상승폭을 키우고 있다”며 “이에 정부가 수도권의 비규제 지역을 조정대상지역에 편입 시키는 등 추가 대책 카드를 내놓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6억~9억원 이하 주택담보대출(LTV)강화 예상
 
실제로 정부가 수도권 비규제 지역을 중심으로 조정대상지역에 추가 지정하는 등 규제 강화를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걸로 알려졌다.
 
정부가 들여다 보고 있는 추가 대책에는 인천 연수구·서구, 경기 군포시·안산 단원구·오산시 등을 조정대상지역으로 신규 편입하고 구리 및 수원 전지역을 조정대상지역에서 투기과열지구로 격상시키는 방안이 포함돼 있다.
 
또한 조정대상지역에서 주택을 2년 이상 보유하고 거주 해야 양도소득세를 내지 않는데 이 기간을 3년으로 늘리고 9억원 초과 주택에 대한 주택담보대출(LTV)을 6억~9억원 이하 중저가 주택으로 낮추는 방안도 예상된다. 최근 서울 강북지역의 9억원 이하 아파트가 크게 오르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으로 해석된다.
 
또 서울과 과천, 광명, 하남 일부에 지정된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대상지 확대, 6억원 이상 신규 전세 세입자의 자금출처 확인서 의무 제출, 6억원 이상 주택 소유자의 지역 구분없이 전세 대출 전면금지(기존 대출 연장 가능), 12억원 이상 주택담보대출 전면금지 등의 규제가 흘러나오고 있다.

 
한편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달(15일 매매 계약일 기준)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4370건으로 전월(3019건)보다 44.7% 증가했다. 신고 기한 한 달을 고려하면 지난달 거래량은 이달 말까지 더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가격대별 아파트 매매량은 15억원 초과가 75.8%로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으며, 9억∼15억원(63.3%), 3억∼6억원(21.7%), 3억원 이하(19.5%)가 그 뒤를 이었다. 거래 가격이 높아질수록 증가율이 높았다. 고가 아파트의 매매량 증가는 보유세 부담 매도자와 양도세 중과를 피하려는 다주택자들이 서둘러 팔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
 

주요기업 채용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