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교영 기자 입력 : 2024.12.23 05:00 ㅣ 수정 : 2024.12.23 05:00
'재무통' 서강현 대표 취임 후 부채비율·유통비율 개선 두드러져 부채 줄고 자본 늘어 건전성 지표와 효율성 끌어올리는 데 성공 건설·조선 등 기존 주력 분야에 원전·방산 등 신규 수요 확보 본격화
현대제철 당진제철소 [사진=현대제철]
[뉴스투데이=금교영 기자] 현대제철이 철강 수요 위축, 중국산 저가 제품 공세, 탈탄소 리스크 등 어려운 업황 속에서도 부채비율 감소 등 재무건전성 개선에 힘쓰고 있어 눈길을 끈다.
특히 현대자동차그룹 내 대표적인 '재무통'으로 꼽히는 서강현 현대제철 대표이사가 지난해 12월 취임한 이후 부채비율과 유동비율 개선 성과가 두드러지고 있다.
23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현대제철은 올해 3분기 부채비율이 75.8%로 지난해 말(80.6%) 대비 4.8% 포인트 하락했다. 같은 기간 유동비율도 149.7%에서 156%로 6.3%포인트 개선됐다.
■재무 안정화에 무게…핵심은 차입금 감소
현대제철은 재무건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차입금 상환을 최우선 목표로 삼고 있다. 이 업체의 최근 3년간 부채비율을 보면 2021년 말 102.8%에서 올해 3분기 75.8%로 27%포인트 낮아졌다.
부채비율은 기업 재정상태를 볼 수 있는 주요 지표 가운데 하나다. 이 지표는 자기자본 대비 총 부채 비중을 나타낸다. 특히 타인자본에 대한 의존도와 재무안전성 등을 가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부채비율이 100%를 넘으면 자기자본보다 부채가 많다는 뜻이다. 업계마다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부채비율이 100% 이하면 매우 안전한 수준, 200%를 넘으면 위험하다고 여긴다.
현대제철의 올해 3분기 부채총계는 14조6526억원으로 2021년 18조2604억원 대비 21.9% 감소했다. 반면 이 기간 자본총액은 18조2604억원에서 19조3195억원으로 5.8% 증가했다. 결국 부채는 줄고 자본은 늘어 건전성 지표와 효율성을 모두 끌어올렸다는 평가가 나온다.
부채 감소와 함께 부채상환 능력을 나타내는 유동비율은 늘어났다.
현대제철 유동비율은 △2021년 171.1% △2022년 162.5% △2023년 149.7%로 악화됐지만 올해 3분기 156%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유동비율은 일반적으로 100%를 넘으면 양호한 수준, 200% 이상이면 재무상태가 안정적이라고 본다.
현대제철의 이 같은 재무개선 성과는 차입규모 축소와 차입구조 다변화 등 재무 관련 노력이 이어진 데 따른 결과로 풀이된다.
실제 현대제철 총차입금은 2021년 13조361억원에서 올해 3분기 10조6639억원으로 줄었다. 같은 기간 순차입금비율은 63.8%에서 48.8%로 15%포인트 축소됐다.
현대제철은 지난 7월 발간한 2024년 통합보고서(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통해 경영실적 개선과 재무구조 개선을 목표로 △2024년 연간 손익목표 달성과 차입금 △현금보유 비중 △부채비율 목표 달성 등을 핵심 과제로 선정했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뉴스투데이>에 “재무정책은 차입금 상환을 최우선으로 하고 있다"며 "이런 측면에서 재무건전성 개선 등 관리가 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그는 "다만 올해 경영실적 자체가 부진해 기존보다는 재무건전성 개선 부분도 다소 둔화될 가능성은 있다”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