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네르바의 눈] 물류단상(物流斷想): 아마존의 ‘로봇’ 풀필먼트센터 확대 전략과 AX 물류센터의 미래 (上)
[기사요약]
DX(디지털전환) 시대에서 AX(인공지능전환)로 패러다임 전환, 물류도 예외 아니야..
대변환의 시대에 최근 ARFC(아마존 로봇 풀필먼트센터) 오픈 발표, 아마존의 ‘퍼스트 마일’ 네트워크 역할 수행할 예정
Shreveport의 ARFC, 5층 규모 센터에서 2500명 작업자들이 자동화 로봇과 함께 옆에서 작업 같이하는 구조로 설계
같은 공간 내에서 인간과 대규모 로봇이 협업 진행하는 것, 물류 현장에서는 처음 시도되는 기술 발전의 성과

[뉴스투데이=김승한 (주)JNDK 본부장, 경기대 겸직교수] DX(디지털전환) 시대의 도래가 엊그제 같았는데, 이제는 모든 비즈니스 영역이 AX(인공지능전환)로 패러다임 전환에 영향을 받고 있는 듯하다.
물류도 예외는 아니며, 이런 대변환의 시대에 지난 3월 12일 아마존 발 새로운 ARFC(Amazon Robotic Fulfillment Center; 아마존 로봇 풀필먼트센터) 오픈 관련 발표가 있었다.
노스캐롤라이나주의 월밍턴(Wilmington)에 구축 예정인 로봇 물류센터는 대지 300만 제곱피트에 4층반 65만 제곱피트(약 1.8만여평) 건물 규모로 설계되었는데, 이는 축구장 8.5개 크기로 1000명의 인력으로 운영될 예정으로 2026년 완공을 계획하고 있다.

윌밍턴에 구축되는 대형 로봇 물류센터는 아마존의 ‘퍼스트 마일’ 네트워크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며, 이는 공급망 내 자재 흐름에서 고객의 상품이 처음 도착하는 지점임을 의미한다. 이후 지역의 ‘미들 마일’ 센터를 거치고 배송 서비스 제공업체를 거쳐 고객의 집 앞까지 배송되는 구조로 운영된다.
이는 2023년 아마존의 물류네트워크를 총 8개의 지역별 물류 네트워크로 조정한 이후부터 이루어지는 구조 변환 작업의 일환이다.
잠시 과거를 돌이켜보면 2012년 3월 19일 아마존 물류를 상징하는 KIVA의 인수로 떠들썩했던 일이 벌써 13년이 지난 이벤트가 되었다니 격세지감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
이제는 대명사가 된 GTP(Goods to Person)이란 용어가 탄생하게 된 시초가 KIVA라 해도 틀린 말은 아니다.
당시 약 7억7천5백만달러에 인수된 이후 2015년에 KIVA Systems는 아마존 로보틱스(Amazon Robotics)라는 이름으로 개편되었고 현재도 ARFC 자동화 혁신의 핵심을 이끌고 있다.

• ARFC(아마존 로봇 풀필먼트센터) 란?
ARFC는 아마존에서 고객 주문을 처리하는데 로봇과 인간 근로자가 함께 일하면서 품목을 이동 및 보관하고, 배송을 위해 주문을 픽업해 포장하는 대형 창고를 말한다.
ARFC는 미국, 영국, 일본,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캐나다, 중국 등 여러 국가에 위치해 있다고 하나, 센터의 정확한 위치는 아마존에서 공개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마존의 공식 발표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52만대가 넘는 로봇 구동 장치를 보유하고 있으며, 또한 분류 센터와 에어 허브를 포함해 전 세계 곳곳에 위치한 시설에 12가지가 넘는 다른 유형의 로봇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고 한다.

• 아마존이 공개한 차세대 풀필먼트센터 모델: Shreveport의 ARFC
2024년 10월 아마존은 자사 공식 홈페이지 aboutamazon.com을 통해서 루이지애나주 Shreveport의 ARFC를 소개하면서 이곳이 AI(인공지능)와 10배 많은 로봇 기반의 차세대 풀필먼트 센터임을 홍보했다.
5층 규모 센터에서 2500명 작업자들이 자동화 로봇과 함께 옆에서 작업을 같이하는 구조로 설계되었고, 과거에 각기 분리된 공간에서가 아닌 같은 공간 내에서 인간과 대규모 로봇이 협업을 진행하는 것은 물류 현장에서는 처음 시도되는 기술 발전의 성과라고 한다.

아마존이 공개한 사진 및 타 사이트의 ARFC 관련 자료들을 참고, 종합해 ARFC가 보유, 운영 중인 몇가지 자동화 설비들을 살펴볼 계획이고, 다음 후속편에서는 아마존의 ARFC에서 운영중인 최첨단 다층 컨테이너 재고 시스템인 Sequoia, AI로 구동되는 로봇 팔 3인조인 Robin, Cardinal, Sparrow, 그리고 그 밖의 AX 장비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정리=최봉 산업경제 전문기자]

◀ 김승한(Seunghan Kim) ▶ 서울대 산업공학 박사 / (주)JNDK 본부장 / 경기대 SW경영대학 겸직교수 / (전) 전국화물자동차우송사업연합회 단장 / (전) (주)화물맨 부사장 / (전) (주)포테닛 사장 / (전) SK 융합물류본부장(상무) / (전) 삼성SDS 물류BPO 그룹장
BEST 뉴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