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의 JOB카툰] 농업드론방제사, 드론을 활용해 방제 업무를 수행하는 전문가

박진영 기자 입력 : 2025.03.22 06:07 ㅣ 수정 : 2025.03.22 06:07

방제‧파종‧모니터링 등 첨단 농업 활동 수행
전문교육기관 통한 드론 조종 자격 취득 필수
농업자동화‧드론 기술 발달에 전망 밝은 직업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image
농업드론방제사는 농촌에서 드론을 원격 조정해 직파와 파종, 예찰, 농약 살포, 방제, 인공수분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 [일러스트=미드저니, 편집=박진영 기자 / Made by A.I]

 

[뉴스투데이=박진영 기자] 농업드론방제사는 드론을 활용해 농작물에 살충제나 살균제, 비료 등을 살포하는 전문가다. 국내 농업용 드론의 90% 이상이 벼 방제 업무에 활용되고 있다. 농업드론방제사가 되기 위해서는 드론 조종 자격을 취득해야 한다. 

 

농업자동화의 영향으로 농업드론방제사의 수요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또, 드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병해충을 탐지하거나 농작물의 상태를 관찰하는 등의 정밀 농업으로 업무의 범위가 확장될 전망이다.

 

■ ‘농업드론방제사’가 하는 일은

 

농업드론조종사(농업드론방제사)는 농작물 재배 시 발생할 수 있는 병충해 등을 방제하기 위해 드론을 조종해 농경지에 약제를 살포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방제지역의 특성을 파악해 살포 계획을 수립하고, 장비의 가동 여부와 약제의 특성을 파악한다. 이어 이착륙 지역을 점검해 약제를 살포한다. 이때 면적 대비 적정량의 약제가 살포되는지를 관찰해 드론을 재조정할 수 있다. 방제 후에는 업무 결과를 확인하고, 드론을 회수해 정비한다. 

 

농업드론조종사는 방제 외에 드론을 이용한 파종과 작물 모니터링을 실시할 수도 있다. 드론을 이용한 파종은 일반적인 파종에 비교해 무려 85%의 비용을 줄일 수 있고, 드론을 이용해 작물의 생육 상황을 정확하게 촬영하고 분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농장의 위험 요인 관리가 가능하다.

 

■ ‘농업드론방제사’가 되는 법은

 

농업드론방제가로 일하기 위해서는 드론 조종 자격을 취득해야 한다. 지난 2021년 3월 개정된 항공안전법에 따르면, 농업 분야에서 활용 가능한 예찰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최소 3종(최대이륙중량이 2kg을 초과하고 7kg 이하인 비행장치) 이상의 드론 조종자격이 필요하다. 방제·파종·시비 업무를 하기 위해서는 최소 2종(최대이륙중량이 7kg을 초과하고 25kg 이하인 비행장치) 이상의 자격이 요구된다.

 

드론 조종 시험에 응시하기 위해서는 항공 종사자 자격을 보유하거나 전문 교육 기관에서 필수 과정을 이수해야 한다. 드론 운용을 위한 조종 자격은 국토부에서 지정한 전문교육기관 170여개를 포함해 전국 600여개 이상의 교육훈련기관에서 교육중이다. 지난 2023년 5월 기준으로 국내 초경량비행장치(드론 포함) 조종자 자격취득자는 총 11만3857명이다.

 

■ ‘농업드론방제사’의 현재와 미래는

 

국내 농업 현장에서 드론이 무인헬기를 대체하고 있어 농업드론방제사의 수요가 많아졌다. 무인헬기는 면적당 방제 효율이 높다는 장점이 있지만, 조종 능력이 미숙해 사고가 빈번히 일어난다. 또, 운용 비용이 높다는 단점도 있다. 농가에서 사용되는 농업용 드론의 90%는 벼 재배에 이용되고 있는데, 이용 농가의 98.1%가 벼 병충해 방제에 활용하고 있다. 드론 방제를 위해 등록한 업체수는 약 3000개에 달한다.

 

농업드론방제사의 미래는 밝다고 볼 수 있다. 농업 자동화와 스마트팜 기술이 발전하며 드론을 활용한 방제 작업이 보편화되고 있다. 자동화된 방제 작업은 노동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전통적인 방식보다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앞으로 드론은 단순한 방제뿐만 아니라 정밀 농업(Precision Agriculture)과 결합해 활용될 가능성이 크다. 드론 센서를 활용해 병해충을 탐지하거나 농작물의 생육 상태를 관찰하고 토양을 분석할 수 있다. 이런 기능이 발전하면 단순한 드론 조종 기술뿐만 아니라 데이터 분석 능력을 갖춘 방제사들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 인공지능(AI) 자동화 기술에 기반한 자율 비행 드론이 나올 전망이므로, 단순한 조종 기술보다는 '드론 운용 시스템 관리 기술', '데이터 분석 능력', '유지보수 기술'을 가진 농업드론방제사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농업용 드론 기술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므로, '드론 정비 전문가', '농업 드론 데이터 분석가', '스마트팜 드론 운영 관리자' 등 다양한 직업이 새롭게 등장할 가능성이 높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
 

주요기업 채용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