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현제 기자 입력 : 2025.04.13 07:00 ㅣ 수정 : 2025.04.13 07:00
원·달러 환율 1450.20원... 원·엔 재정환율 1007.33 LCC 업계, 수익은 원화·지출은 달러로 결제 대형항공사 환헤지 전략 펼쳐...LCC는 쉽지 않아 엔화 강세 여파에 대체 여행지 발굴 등 대책 마련
대한항공, 아시아나 항공기 [사진 = 연합뉴스]
[뉴스투데이=최현제 기자] 원·달러 환율과 원·엔 재정환율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펼치는 '관세 전쟁' 영향으로 가파르게 오르면서 항공업계가 비명을 지르고 있다.
환율 급등으로 특히 항공사 재무 부담이 크게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이를 보여주듯 지난 11일 오후 5시 현재 원·달러 환율은 1437.40원, 원·엔 재정환율은 1005.07원으로 고공행진을 거듭하고 있다.
1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항공업계가 이처럼 환율 급등에 타격을 입는 것은 달러화로 운용비 대부분을 결제하기 때문이다. 즉 항공사는 △항공기 리스료 △항공유 △정비 부품 구입에 따른 운영비를 달러로 지불한다. 이에 따라 환율이 급등하면 이에 따른 비용 부담이 커져 회사 수익성에 타격을 줄 수 밖에 없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뉴스투데이>에 "대한항공과 같은 대형항공사는 환율이 100원 오를 때 약 6300억 원의 평가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라며 "다른 항공사는 환율 손익 구조를 공개하지 않고 있지만 대한항공과 유사한 재무 부담을 느낄 것으로 점쳐진다"라고 설명했다.
특히 저비용항공사(LCC)는 이 같은 환율 상승에 더욱 민감하다. LCC는 수익 대부분을 국내 노선 중심이라는 점에서 원화로 벌어들이지만 항공기 리스료나 유류비, 정비비 등 주요 지출은 달러로 나간다.
이처럼 수익은 원화, 지출은 달러라는 구조에서 LCC는 환율이 조금만 올라가도 원화 대비 실질 비용이 급증할 수 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