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증시 반등 속 가시화되는 '의료 붕괴'…"경제활동 정상화 시차 있을 것"

임종우 기자 입력 : 2022.12.13 07:22 ㅣ 수정 : 2022.12.13 07:22

홍콩 증시, 이달 들어 4% 가까이 반등세
항셍은 완화 이후 이틀간 5%대 급등세도
현지 확진자 증가세에 "환자 둘 곳 적어"
국내 증시 의약품·의료기기株 오르기도
"실물경제 회복 확인 전까지 시차 필요"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image
중국 베이징시 방역 관계자들의 모습. [사진=연합뉴스]

 

[뉴스투데이=임종우 기자] 중국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 조치를 완화하며 중화권 증시가 반등했지만, 완화 이후 감염증이 급증하는 부작용이 생기며 현지 의료 시스템이 붕괴될 수도 있다는 우려가 확대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중국의 코로나19 확진자 급증이 현지 경제활동 정상화 시기를 늦출 것이라며, 실제 실물경제 회복이 확인되기 전까지는 증시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1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전일 홍콩H지수는 6628.30을 기록하며 이달 들어 3.98%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항셍은 3.88% 오른 1만9463.63을,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0.88% 뛴 3179.04를 각각 나타냈다.

 

이처럼 중화권 증시가 상승하고 있는 것은 중국 정부가 지난 7일 제로코로나 정책을 완화하고 부동산 정책에 대한 언급을 하지 않는 등 리오프닝 기대감이 커져서다.

 

특히 항셍은 중국 정부가 베이징과 광저우 등 일부 대도시의 의무 유전자증폭(PCR) 검사 의무 조항 폐지 등의 내용을 담은 정책안을 발표한 이후인 지난 8~9일 이틀간 5.77% 급등하기도 했다.

 

하지만 현지 방역 체계 완화 이후 확진자가 늘어나면서 상황이 급변하고 있다. 리오프닝 기대감보다 의료 시스템 붕괴로 인한 사회활동 위축 우려가 더 커진 상황으로 보인다.

 

리앙 베이징시 국가위생건강위원회(위건위) 대변인은 전일 기자회견을 통해 120(현지 응급의료 신고 번호) 응급 전화가 가장 많았던 지난 9일 24시간 동안 평상시의 6배인 3만1000회의 전화가 걸려왔다고 발표했다.

 

확진자는 늘어나고 있지만 현지 의료 병동의 수가 상당히 부족해 많은 환자들이 애를 먹고 있다. 중국 보건 당국 발표에 따르면 현재 중국은 중환자 집중치료 병상을 인구 10만명당 10개꼴로 확보하고 있는데, 이는 독일(28.2개)이나 미국(21.6개), 일본(13.8개)보다 적은 수준이다.

 

또 일부 지역에서는 해열제나 감기약 같은 의약품에 대한 사재기가 기승을 부리며 환자들이 약국에서 해열제를 구하지 못해 병원을 찾고 있는 것으로도 알려졌다.

 

이에 국내 증시에서는 중국발 수주 수혜 기대감에 의약품이나 의료기기 관련주들이 상승하기도 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일 국제약품(002720)은 전 거래일보다 29.87% 올라 상한가인 5600원에 거래를 마쳤다. 같은 날 영진약품(7.44%)과 일동제약(7.12%), 삼일제약(5.07%) 등의 제약주들도 일제히 강세를 보였다.

 

그밖에 인공호흡기 기업인 멕아이씨에스(058110)의 주가도 전장 대비 18.08% 급등했다.

 

현지 방역이 완화된지 1주일도 채 안돼서 이 같은 의료 체계 혼선이 벌어졌는데, 내년 1월 중순에는 7일간 연휴를 보내는 중국 최대 명절인 춘절까지 겹치며 확진자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증시 전문가들은 중국의 경제 정상화 시점이 연내에 실현되는 것은 힘들 것이라며, 향후 지속적으로 나오는 관련 소식에 따라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는 점을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류진이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중국 내 일일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아직 2만명 수준에 그치고 있다"며 "전체 인구가 14억3000만명에 달한다는 점과 방역 조치를 이제서야 점진적으로 완화하기 시작했다는 점은 현지 코로나 확산세가 정점에 도달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류 연구원은 "중국의 열악한 의료시스템은 확산세가 통제 가능 수준으로 내려오기 전까지 상당한 수의 사망자를 낼 가능성이 크며, 사망자 수 급증은 중국 정부뿐만 아니라 중국 내 소비자 심리에도 부담으로 작용할 수 밖에 없다"며 "현지 확산세가 진정되고 사망자 수 감소 이후 경제활동 정상화와 이에 따른 실물 경제지표 반등까지는 시차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중화건 증시는 관련 뉴스에 따라 변동성이 커질 수 있어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BEST 뉴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
 

주요기업 채용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