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티아이, 해외 고객사 매출 기여로 올해 매출 22% 증가 전망”
매출의 Quality와 Upside 생각하면 PSR 0.7배는 저평가
[뉴스투데이=장원수 기자] 하나금융투자는 24일 에스티아이에 대해 YMTC로의 반도체 제조장비 공급 내용을 공시했다고 전했다.
김경민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반도체 장비 중에서 케미칼 서플라이 시스템, 슬러리 서플라이 시스템, 패키징용 리플로우 장비를 공급하는 에스티아이는 24일에 YMTC와의 반도체 제조 장비 계약을 공시했다”며 “YMTC로부터의 수주는 2018년 이후 4년 만”이라고 밝혔다.

김경민 연구원은 “수주금액은 283억원으로 2018년 첫 수주 당시 대비 커졌다”라며 “공시 대상 장비는 전통적인 케미칼 공급 장비가 아니라 슬러리 공급 장비라는 점이 유의미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처럼 특정 지역에서 새로운 장비의 레퍼런스를 확보하면 다음에 다른 고객사로 영업을 전개할 때 저변을 확대하기 쉽다”고 덧붙였다.
김 연구원은 “에스티아이의 올해 매출, 영업이익, 순이익은 2021년(3199억원, 256억원, 228억원) 대비 각각 22%, 52%, 38% 증가한 3900억원, 389억원, 315억원으로 전망한다”며 “에스티아이는 전통적으로 삼성전자로의 매출 의존도가 높으며, 케미칼 서플라이 시스템 위주의 장비를 공급하는 기업으로 알려져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삼성전자가 메모리 반도체 사업에서 수익성 위주의 전략을 전개하고 있어 2022년 메모리 반도체 설비투자가 많이 늘어나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에스티아이의 매출 증가율을 22%로 전망하는 이유는 삼성전자 평택 3기의 장비 매출 반영이 시작됐으며 삼성전자뿐만 아니라 반도체 업계 전반적으로 생산설비 중에서 Shell과 인프라장치는 빨리 확보하려는 흐름이 인프라장치를 공급하는 에스티아이에 유리하기 때문”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아울러 싱가포르, 중국 등 해외 고객사로부터의 매출을 1400억원 수준으로 추정한다”며 “해외 고객사 중에서는 마이크론이 원래부터 유의미한 고객이었는데 여기에 반도체 웨이퍼 제조사와 중국 현지 반도체 고객사가 가세해 2022년 매출 성장에 힘을 실어준다”고 말했다.
이어 “올해 매출 추정치 3900억원에는 평택 4기 설비투자 효과, 텍사스 파운드리 설비투자 효과, 잉크젯 장비 수주를 전혀 포함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그는 “2월 23일 기준 시가총액은 2786억원으로 2022년 매출 추정치(3900억원) 대비 71% 수준”이라며 “과거에는 반도체 장비 공급사 중에 스크러버 공급사와 케미칼 서플라이 시스템 공급사의 상대가치 밸류에이션은 낮은 편이었다”고 진단했다.
그는 “스크러버 공급사는 ESG 트렌드의 수혜에 힘입어 저평가 국면을 탈출했으나 에스티아이와 같은 케미칼 서플라이 시스템 공급사는 아직 저평가되어 있다”며 “올해 매출의 30% 이상이 해외에서 비롯된다는 점과 평택 4기 및 텍사스 설비투자에 따른 매출의 업사이드가 가시적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에스티아이도 저평가 국면을 벗어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망했다.
BEST 뉴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